대구 취수원을 구미시 도개면 일선교 부근으로 옮기는 '대구경북권 맑은 물 공급사업'이 구미시의 반대로 중단됐다. 구미시가 뿔난 것은 대구시가 구미로 취수원을 이전하려고 추진하면서도 경북도나 구미시, 지역 정치권은 물론 지역민들과의 의견수렴을 거치지 않고 밀어붙였기 때문이라는 것이 중론이다. 대구도 이에 대해서는 미흡했음을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 1991년 이후 페놀, 1.4다이옥신, 페클로레이트, 벤젠 등 각종 수질 사고로 '나쁜 물'에 대한 공포가 큰 대구시로서는 안전하고 깨끗한 물에 대한 갈증이 어느 지역보다 크다.
◆구미시의 반대=김태환 한나라당 의원(구미을)은 "취수원 이전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는 것은 바로 지역 주민들"이라며 "그런 만큼 취수원 이전의 선결조건은 지역 주민과의 협의이고 지금처럼 주민들의 동의없는 일방적 추진은 절대 반대"라는 입장을 표했다.
구미시의 취수원 이전 반대 논리를 요약하면 ▷낙동강 상류에 취수원을 이전하면 취수원 하류의 유지 수량이 부족하게 돼 자정 능력이 떨어지고 이는 환경오염을 초래한다 ▷취수원 이전으로 대구가 95만t의 생활용수를 취수하면 공업용수를 공급받고 있는 구미산업공단 기업 2천200여 개의 가동에 피해가 예상되며 ▷상수원 보호구역이 확대돼 재산권 침해와 상수도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 ▷2008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용역에서 타당성이 없는 것으로 결론났다는 것이다. 또 정부의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수질이 개선되는데 굳이 취수원을 이전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한 부분도 반대논리의 한 측면이다.
김성조 의원(구미갑)은 "경북도와 구미시, 대구시의 판단과 생각을 존중해야 한다고 본다"며 "물을 줄 의향이 있는지 없는지 묻지도 않았고 (구미시가) 물을 주겠다고 얘기한 적도 없는데 대구시만의 이득을 바라고 일을 추진한 것 아니냐"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지금이라도 대화를 공식적으로 요구하면 경북도와 구미시의 의견을 면밀히 검토해 판단하겠다"고 밝혔다. 이대로 추진하는 것은 '절대 불가'라는 의미다.
◆경북도, 구미, 대구가 상생하는 방안으로 가야=하지만 국토해양부와 대구시는 이에 대해 '구미의 오해'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우선 취수원 하류의 유지수량 부족에 대해서는 "취수원 상류에 건설하거나 계획 중인 6개의 신규 댐과 4대강 보 건설로 2014년까지 하천 유지용수가 대폭 증대한다"는 설명이다.
행위 제한 및 재산 손실 부분에 대해서는 "취수원 이전으로 하류의 기존 상수원 보호구역 3곳이 풀리고 상수원 상류지역 공장입지 규제가 늘어나지 않도록 수도법을 고쳐 규제를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상수원 보호구역 해제로 180㎢의 공장입지 규제도 풀리게 된다.(표 참조)
또 구미시는 생활용수 대부분을 한국수자원공사의 광역상수도를 사용하고 있어 취수원 이전에 따른 수도요금도 현재와 같은 ㎥당 394원을 적용받는다는 것이다.
조원진 의원(대구 달서병)은 "대구 뿐만 아니라 구미, 상주, 고령, 성주, 칠곡, 김천 등 7개 지역에 공급되는 취수원 이전은 어느 때보다 필요하며 구미공단의 성공적인 발전과 대구경북권의 맑은 물에 대한 갈증이 동시에 해결되는 방향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