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의 묘미라면 무엇보다 그 지역의 문화를 직'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인도처럼 알려진 것보다 실제로 더 많은 볼거리가 있는 곳이라면 그 재미는 배가된다. 맥클러드 간즈(맥간)에서 약 7주간의 생활은 인도의 독특한 면모를 충분히 엿볼 수 있는 기회였다.
◆'넥스트 타임' 그리고 '인디안 프라이스'
맥간에서 가장 많이 들었던 말이 '넥스트 타임'(Next time)이었던 것 같다. 여러 상황에서 쓰이지만 가장 의아했던 것이 거스름돈을 받을 때였다. 식당이나 슈퍼에서 2, 3루피를 거슬러 주면서 동전이 없을 때, 이 말은 '다음에 생각나면 계산하라'를 뜻한다. 5루피를 반내림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동전이 부족해서 그런 것 같았다. 잔돈 부족이 일상화된 때문인지 그 대체물이 신기했다. 다름 아닌 사탕(1개당 1루피)으로 계산하는 것이다.
여행객들도 자주 '넥스트 타임'을 외친다. 그러나 완전히 다른 상황에서다. 가게를 지날 때마다 "구경이나 한 번 하라"며 성가시게 하는 업주들에게 이 말을 던진다. 그런데 한번은 내가 "넥스트 타임"이라고 하자 "다음은 없다"며 "디스 타임(이번)에 보는 것이 좋다"고 응대해 한참을 웃었던 적이 있다.
'인디안 프라이스'(Indian price)라는 말도 자주 쓰는데 배경이 조금 씁쓸하다. 인도에서는 인도인과 외국인 여행객에게 요금을 '확실히' 다르게 부과하는 2중 체계이다. 외국인에게 '바가지를 씌운다'는 말이다. 사이클이나 오토릭샤 기사들은 보통 인도인 요금의 최소 2배를 부른다. 맥간에서는 공중화장실 요금도 외국인에겐 더 비싸게 받기도 했다.
이럴 때 흥정에 들어가면서 하는 말이 "인도인 요금(인디안 프라이스)으로 해 달라"이다. 이에 능한 사람이야 요금을 쑥쑥 깎아나가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으로선 상당히 거추장스러운 일. 그나마 경쟁이 치열한 관광지에서는 상인들이 알아서 "인디안 프라이스"를 외치며 조금은 합리적인 가격을 제시하는 경우도 있다.
바가지 요금의 사례는 인도인을 믿지 못하게 하는 원인 중의 하나인데, 소포 발송 과정을 보면 그 정도를 짐작할 수 있다. 인도에서 소포 포장은 테이프가 아니라 실을 사용한다. 포장 업소에 가면 내용물을 천으로 싼 뒤 재봉질을 해준다. 그리고는 빨간색 촛농을 녹여 포장 위로 낙인을 수차례 찍어준다. 어찌나 꼼꼼하게 포장을 하는지 받는 사람들은 '포장을 뜯는 데만 수십 분'이라며 불평을 하기 일쑤다.
이는 소포 발송 과정에서 분실을 막기 위한 고육지책이다. 중간에 내용물이 사라지기로 악명이 높은 인도인지라 이보다 더 안심할 만한 방법이 없는 것. 한 여행객은 소포 내용물 중에 디지털 카메라만 사라지고 나머지 물건만 받은 경우도 있다. 아내가 한국의 친구에게 보낸 귀고리가 분실된 적도 있다. 편지봉투나 엽서에 붙은 우표를 떼 가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참 못 말리는 인도인들이다.
◆상점에서 엿본 인도의 사회상
인도인이 운영하는 상점에서는 여성을 찾아보기 힘들다. 맥간이나 박수, 만디 등 히마찰 프라데시 주 어디에서나 마찬가지였다.(물론 델리 같은 대도시나 남인도에서는 조금 다르다) 옷가게에서 옷을 파는 것은 물론 식당에서 요리를 하고 서빙을 하는 것도 모두 남자들의 몫이었다. 아직은 기혼 여성의 역할을 가정주부로 한정하는 인도의 사회 분위기 때문인 듯했다. 이와 반대로 티베트인 가게에서는 여자들을 많이 볼 수 있어 매우 대조적이었다.
인도인 가게에는 시바나 가네샤 등 힌두신의 그림이나 조형물이 걸려 있다. 우리로 치면 일종의 부적인 셈인데, 언제 어디서나 힌두 사원을 찾아 기도하는 인도인들의 종교문화가 반영된 관습이다. 특히 코끼리 머리의 가네샤는 사업 번창을 상징하기에 어느 업소에서나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업주의 부모 영정 사진을 걸어놓는 경우도 있다.
인도에는 심야 영업이 없다. 맥간에서는 모든 가게가 이르면 오후 9시, 늦어도 오후 11시면 문을 닫았다. 이는 티베트인 가게나 인도인 가게나 공통된 사항. 이 때문에 남아프리카공화국 월드컵도 심야 경기는 생방송으로 볼 수 없었다. 한국과 나이지리아 경기가 그랬다. 앞서 두 경기는 오후 10시 이전에 끝난 덕에 직접 시청할 수 있었지만, 이 경기는 밤 12시 게임이라 결과를 다음날에야 확인할 수 있었다.
◆잦은 정전과 느림보 인터넷
맥간에서 비는 곧 정전을 의미했다. 비가 좀 온다 싶으면 밤낮을 가리지 않고 전기가 나갔다. 복구까지 대부분 1시간 정도면 충분했지만, 어떤 경우 3시간이 넘게 걸리기도 했다. 그럴 때마다 초를 찾아 촛불을 켜고 지냈다. 정전에 대비해 항상 양초와 성냥 보관 장소를 기억해야 했던 어릴 적 생각이 났다.
이는 인도 전역의 전기 공급이 불안정해서 생기는 일인데, 산간 지역인 맥간은 상황이 더 심각했다. 처음 전기가 나가는 순간에는 당황스러웠다. 그러나 이를 되풀이해 경험하니 아주 당연한 일이 되어 여유 있게 전기가 들어오길 기다렸다. 오히려 이때는 촛불을 켜 두기에 더욱 아늑한 시간을 보낼 수 있어 좋았다.
정전보다 더 불편했던 것은 느려터진 인터넷이었다. 한국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초고속 인터넷을 사용했던 터라 그 불편함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사진이나 동영상이 많은 한국의 홈페이지는 용량이 그만큼 커 이용에 상당한 시간을 투자해야 했다. 은행 홈페이지는 최악이었다.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데만 5분 이상 걸리는 경우가 허다했다. 거기에 공인인증서를 통해 로그인을 하다 보면 어느새 10분은 훌쩍 지나갔다.
해외에서 국내 인터넷 사이트를 이용하는 사례가 점점 증가하는 만큼 여기에 대한 배려가 있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octocho.gmail.com
octocho.tistory.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