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온실가스 배출량과 에너지 사용량을 규제할 374개 목표관리업체를 최종 지정했다.
지식경제부는 28일 제2차 온실가스 에너지 관리위원회 회의를 열고 2010년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 업체로 업체 167곳과 사업장 207곳 등 모두 374곳을 지정해 고시한다고 밝혔다.
지정된 곳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12만5천tCO₂(업체 기준)이거나 에너지 사용량이 500TJ(업체 기준)을 넘는 등 일정 기준 이상인 업체와 사업장이다. 정부는 사전 조사를 거쳐 내년 9월까지 각 업체와 사업장별로 감축 목표치를 정한 뒤 2012년부터 목표치를 지키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대구에서는 대구염색산업단지와 대구텍㈜, 한국델파이㈜대구공장 등 12개 업체가, 경북에서는 제일모직㈜, 포스코강판㈜컬러·도금공장 등 33개 업체 등 모두 45개 업체가 최종 지정됐다.
이번에 지정된 업체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삼성정밀화학과 엘지화학 등 석유화학 업체가 78곳으로 가장 많으며, 제지목재 업체가 57곳, 발전·에너지업체가 36곳 순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다만 대기업의 경우 이미 친환경 설비를 갖춰 같은 비용으로 적은 효과만을 얻을 수 있는 점을 감안해, 대중소기업 간에 '그린 크레딧'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그린 크레딧이란 탄소배출권 거래제와 유사한 개념으로,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기술이나 자금을 지원해주는 대신 중소기업이 줄인 온실가스 감축실적의 일부를 대기업의 실적으로 인정해주는 제도다.
정부는 또 중소기업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 목표관리대상 중소기업(120개 업체)에 '에너지 멘토' 30여 명을 4개 업체당 한 명씩 배치해 전반적인 온실가스 감축업무를 지원한다.
정부는 실질적인 혜택을 위해서 중소기업 전용 ESCO 융자자금을 올해 1천350억원에서 내년 4천500억원으로 확대하고 온실가스 감축사업 등록 하한선을 기존 500t에서 100t으로 하향조정해 중소기업의 소규모 감축사업도 활성화한다.
김진만기자 fact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