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강구대교 35억짜리 조명, 50일째 '깜깜'

가동 예정일 지나도 전기 안들어와 부실공사 논란

영덕군이 35억원을 들여 만든 강구대교 경관 조명시설물이 준공 예정일에서 50여 일이 지나도록 제대로 가동되지 않고 있다.
영덕군이 35억원을 들여 만든 강구대교 경관 조명시설물이 준공 예정일에서 50여 일이 지나도록 제대로 가동되지 않고 있다.

영덕군이 35억원을 들여 만든 강구대교 경관 조명시설물이 준공 예정일에서 50여 일이 지나도록 제대로 가동조차 되지 않는 등 부실공사 논란을 빚고 있다.

애초 공사를 시작할 때부터 거액의 사업비에 비해 실효성이 떨어지는 '전시행정'이라는 비판을 받았던 이 시설물은 하자보수기간이 끝나는 2년 뒤에는 부품 확보 곤란으로 수리까지 어려워져 애물단지가 될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다.

영덕군은 지난해 2월 강구대게상가 입구 강구대교에 경관 조명과 범선 조형물을, 인근 바다에 음악분수 등을 설치하는 강구항 경관 조성사업을 현상공모해 서울의 A, 인천의 B업체에 공사를 각각 맡겼다. 이 시설물은 조명등 6천500개와 분수가 어우러져 다양한 형태의 야간 조명 쇼를 연출하는 등 지역의 관광 명소로 만든다는 게 영덕군의 목표였다.

하지만 준공 예정일인 8월 2일 이후에도 시설물에 전기가 들어오지 않고 조명 제어프로그램이 가동되지 않아 중국인 기술자를 불러 수리를 했다. 준공 예정일에서 두 달 가까이 지난 30일 현재까지 경관 조명 시설물은 여전히 정상 가동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A·B업체는 준공 지연에 따른 자체상환금을 하루 90만원씩 모두 5천여만원을 영덕군에 내고 있다.

관련 업계 전문가들은 부실공사 원인을 값싼 중국제 조명 제어프로그램과 부품 등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시공업체들이 가격은 비싸지만 성능이 우수하고 안전한 국산품 대신 이익이 많이 남는 부실한 중국제 제품을 사용했을 것이란 의혹을 사고 있는 것.

여기에다 앞으로 경관 조명 시설물을 보수·유지하는 데 돈이 많이 들 것으로 보이는 등 사후 관리도 문제라는 지적이다. 중국제 부품은 모델이 자주 바뀌어 하자보수기간이 끝나는 2년 뒤에는 부품 수급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크고 조명 제어프로그램은 고장이 날 경우 수리가 어려울 수도 있다는 것이다.

영덕군 담당 공무원은 "경관 조명 시설물에 대해 긴급 조치에 들어갔고 10일 후 정상 가동될 수 있다"며 "고장에 대비해 예비 조명등 500개를 준비했고 하자보수기간을 연장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라고 말했다.

지역 사회단체 한 관계자는 "부실공사 논란, 일부 인사의 이권개입설 등 관련 의혹을 말끔히 씻을 수 있도록 영덕군이 적극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영덕·박진홍기자 pjh@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