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토요초대석] 박창달 자유총연맹 회장

"천안함과 연평도 사태 같은 명백한 북한의 만행은 여전히 평화체제가 구축되지 못한데서 비롯된 불상사다. 평화는 소중하다. 그렇다고 일방적인 양보와 구걸을 통해 그것을 얻을 수는 없다. 적어도 국가안보에 관한 한 5천만 국민이 하나로 뭉쳐 북한의 어떠한 도발에도 흔들리지 않고 이 땅을 지켜내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가진 공동체를 만들어야 한다. 그래야만 우리를 위협하며 남남갈등을 선동하는 북한의 전술을 타파하고 북한에 추종하는 세력의 발호를 억제할 수 있다."

박창달 한국자유총연맹 회장은 국내 최대 보수단체의 사령탑으로서 대북 강경 목소리를 대변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11월 23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일방적으로 북한을 두둔하자 박 회장은 직접 중국대사관 앞 시위에 나서 북한 감싸기를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정부가 할 수 없는 일을 대신 한 셈이다.

박 회장은 이명박 정부의 '창업' 공신이다. 조직의 귀재라고 불리기도 했던 그는 대선과정에서 사조직을 이끌었다. 그러나 다른 공신들과 달리 변변한 '자리'를 받지 못했다. 2008년 '8·15 특사'로 복권되기 전까지 공직을 맡을 수 없었던 것이 이유이기도 했다.

2009년 3월 그가 보수성향 시민단체의 대표격인 자유총연맹으로 간 것은 건전한 보수세력의 결집 없이는 이 정부의 성공과 정권 재창출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생각이 앞섰기 때문이다. 쇠고기 촛불집회 사태를 겪으면서 그의 생각은 굳어졌다. 자유총연맹은 DJ정부와 참여정부 10년을 거치면서 와해 직전까지 내몰렸다. 박 회장 취임 이후 2년이 채 지나지 않았지만 60여만 명에 불과하던 회원수는 150여만 명으로 늘었고 해외지부도 결성됐다. 건전한 보수세력의 결집이라는 1차 목표는 달성한 셈이다. 그의 다음 목표는 정권 재창출이다.

사석에서 그는 "누구든지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걸림돌이 돼서는 안 된다"며 "누가 되는 사람은 스스로 알아서 퇴진해야 한다"고 말하곤 한다. 누가 되는 인사가 누구인지는 구체적으로 지목하지 않았다.

정치권과 거리를 두고 있는 그지만 최근 여권 내에서 공론화 과정을 거치고 있는 개헌에 대한 생각은 확실했다.

"개헌은 지난 17대 국회에서 여야 정치권이 18대 국회에서 추진하기로 합의한 사항이다. 한나라당 내 의견만 통일되면 시간은 충분하다. 지금 헌법은 21세기 글로벌 시대에 맞지 않다. 그래서 바꿔야 한다. 2월 국회에서 한나라당 내 특위부터 구성하겠다는 것은 잘하는 것 같다"고 했다. 그는 "개헌은 누가 주도해도 정략적으로 비칠 수밖에 없다"면서도 "국가 백년대계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그의 임기는 2013년 2월로 이 대통령과 진퇴를 같이한다. 박 회장의 향후 정치적 행보가 궁금했다.

"대구에 대해 무한한 애정을 갖고 있다. 17대 국회의원 임기 중에 중도하차해 마무리를 하지 못했다. 기회가 된다면 대구시민들을 위해 중앙에서 열심히 해볼 생각이다. 지금의 대구 정치권은 너무 답답하다. 이대로는 안 된다"는 것이 박 회장의 생각이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