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경과 무국경의 공존시대, 한국사회의 대응은?

계명대 국경연구소 국제학술회의

"현대사회는 국가 간의 접촉이 늘어나면서 민족국가의 존립이 위협받고 있다. 한국 사회도 단일민족 신화가 깨어지고, 한국 사회를 보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다. '국경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이 각광받는 이유다."

계명대 국경연구소(소장 이성환)는 25일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한국사회기반연구'(SSK) 사업의 일환으로 한국, 미국, 중국, 일본학자를 초청해 '국경과 무국경의 공존 메커니즘-법'행위자'현상'이라는 주제로 학술회의를 가졌다. 글로벌화와 함께 국경과 무국경의 상태가 공존하는 현대사회에서 한국사회가 어떻게 대응해가야 할 것인가를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날 회의에서 '국경연구의 현황과 과제'라는 제목으로 이성환 교수가 기조발제를 했다. 박윤주 교수(계명대)는 '페루의 다문화주의와 이민자들의 정치참여:한국 다문화주의에의 함의'를, 류재성 교수(계명대)는 '정치이념 및 정치지식과 국경인식' 논문을 발표했다. 중국의 박동훈 교수(연변대학)는 '디아스포라의 초국가적 성격과 모국:중국조선족과 한반도 관계를 중심으로'를, 일본의 이와시타 교수(홋카이도대학)는 '동아시아의 국경문제가 국제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후루카와 교수(쥬쿄대학)는 '일본의 국경지역 법제' 논문을 발표했다. 사이토 준(미국 예일대학), 황달기(계명대), 윤석상(한국외대) 교수가 토론을 벌였다.

박윤주 교수는 페루를 사례로 한 다문화사회에서의 인종적 소수자의 정치참여 현상이 한국에도 도래할 수 있다고 주장, 눈길을 끌었다. 이와시타 교수는 글로벌 사회에서 국경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야 하며, 중국과 러시아의 국경분쟁 해결방식을 사례로 들면서 동아시아에서의 영토분쟁은 민족주의를 떠나 자국과 이웃나라의 이익을 함께 모색하는 방식으로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동훈 교수는 중국 조선족이 민족으로서 생존하려면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이 절실하며, 모국과의 관계 강화가 그 출발점이 될 수 있으며, 한국으로부터 계속적인 문화 콘텐츠의 공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화 시대에서 한국사회가 나아가야 할 지향점을 국경이라는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는 계명대 국경연구소는 내년에는 중국학자들을 중심으로 한 국제학술회의를 열 계획이다.

최병고기자 cbg@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