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소값 폭락 지원 대책에 인천 축산농가 '시큰둥'

소값 폭락 지원 대책에 인천 축산농가 '시큰둥'

소값 폭락으로 어려움에 처한 인천지역 축산농들이 인천시가 마련한 지원 대책에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시(市) 대책으로는 떨어진 소값을 보전하거나 농가 자립을 도모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인천시는 한우 가격을 내려 소비를 촉진하고 농가 소득을 보전하기 위해 한우 유통과정 간소화 계획을 세웠다.

다음주부터 인천강화옹진축협이 한우 수집·도축·해체·가공·정육 등 전 처리과정을 맡도록 해 현행 7단계에 걸친 유통과정을 단일화하고 올해 상반기 중 강화군 선원면에 강화한우 전문직판장을 개설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축산농가 관련 사업 예산도 작년 77억4천800만원 보다 37.8% 증액된 106억8천400만원으로 세웠다.

강화한우브랜드 육성, 축산업경쟁력제고, 사료비지원 사업 등 40개 축산농가 지원 사업을 벌일 예정이다.

인천시의 한 관계자는 7일 "유통과정 간소화를 통해 한우 가격을 내려 소비를 촉진하고 어려움에 처한 농가 소득을 보전하겠다는 취지"라고 말했다.

축산농가는 '한우 소비를 촉진하는 것이 농가에 어느 정도 도움은 되겠지만 소값 폭락에 따른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는 없다'는 반응이다.

전국한우협회 강화지부 류장근 사무장은 "한우 직판장은 작년에 우리 강화 축산농들이 소비자에게 값 싸고 질 좋은 한우를 제공하기 위해 먼저 제안한 것"이라며 "소값 폭락 대책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고 말했다.

류 사무장은 "소값이 바닥까지 떨어진 마당에 유통 단계를 단일화한다고 해서 축협이 소값을 더 쳐줄리도 없다"며 "유통과정 간소화 보다는 정부 수매를 통한 농가 자립 기반을 만들어 주는 게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화도면에서 소를 키우는 한 농민은 "8개월 동안 600만원 들여 키운 소를 최근 320만원에 내다 팔았다"며 "소비 촉진 같은 임시방편이 아니라 한우산업 안정화를 위한 근본 대책을 원한다"고 말했다.

강화지부는 다른 지부와 협의해 한우 수매 촉구 운동을 이어가는 한편 조만간 송영길 인천시장과 면담을 갖고 인천지역 학교 급식에 한우고기 공급을 늘려달라고 요청할 계획이다.

인천에서는 643개 축산농가가 2만1천410마리의 한우를 사육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