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박근혜)가 11일 당 정강의 '보수' 표현 삭제를 공식화했다. 하지만 당내 반발이 만만치않아 진통이 예상된다. 보수 표현을 둘러싼 논란이 자칫 돈봉투 파문으로 심화 조짐을 보이는 친이-친박에 이은 세력 분화를 가속화시킬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낳고 있다.
비대위 산하 정강정책 개정 소위원회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회의를 열고 보수 표현 삭제를 골자로 한 정강 개정안 초안을 마련했다. 소위는 초안을 논의한 뒤 비대위 전체회의에 넘길 예정이다. 개정안에는 '선진화' 표현과 함께 '포퓰리즘에 맞서' 용어도 빠진 것으로 전해졌다. 대신 공정경쟁, 공정시장, 분배정의 등의 표현이 강조된 것으로 알려졌다. 소위 관계자는 "보수 표현을 빼는 대신 자유주의, 시장경제 바탕, 안보 등의 내용을 그대로 담아 보수 가치를 충분히 살렸다"고 말했다.
현 정강정책은 전문(前文) 첫머리에서 한나라당을 "지난 60년 동안 대한민국의 비약적 발전을 주도해온 발전적 보수와 합리적 개혁의 역사적 정통성을 계승하는…"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어 "(발전적 보수와 합리적 개혁 세력인) 우리는 대한민국의 건국과 산업화, 민주화를 이루었고 이 성과를 토대로 나라를 선진화하는 데 모든 당력을 집중한다"는 목표를 밝히고 있다.
비대위가 보수 표현을 삭제키로 한 것은 '보수'라는 단어가 주는 부정적 이미지가 석 달 앞으로 다가온 총선에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김종인 비대위원은 앞서 언론 인터뷰에서 "보수라는 말을 넣느냐 안 넣느냐는 의미가 없으며, 보수라는 이야기를 하면 젊은 층은 '꼴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으므로 시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하지만 '보수' 표현 삭제에 대한 당내 반발이 거세 인적 쇄신으로 불거진 논란이 자칫 이념 논쟁으로까지 확산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 현 정부와의 단절까지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해석돼 여권이 분열 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외부인사 중심인 비대위에 대한 불만도 깔려 있다. 홍준표 전 대표는 "뭔 보따리장수들이 들어와서 주인들을 다 휘젓고 다니느냐"고 비판했고, 정두언 의원은 "사람이 문제지 정강정책이 무슨 문제냐. (보수 표현 삭제는) 웃기는 짓"이라고 비꼬았다. 이들의 반발이 조직화, 집단화될 경우 한나라당의 내분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