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공단 및 서대구공단 재생 사업의 국비 지원 확정(본지 1월 12일자 2면 보도)에 따라 대구 도심 노후공단이 첨단산업단지로 거듭날 수 있는 길이 열렸지만 사업자 유치가 지지부진해 사업 추진에 난항이 예상된다.
지난 2007년 재생사업 검토 때부터 사업 시행자로 거론돼 온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대구도시공사가 자금 사정과 낮은 사업성을 이유로 시행자 참여가 곤란하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는 것.
대구시는 이시아폴리스(대구 동구 봉무동 신도시) 개발 사업처럼 민간기업과 행정기관 공동의 특수목적회사(SPC) 설립 방안까지 광범위하게 고려하고 있으나 이 역시 사업성이 관건이다.
대구시는 3공단 및 서대구공단 재생 사업 예산을 1조~2조원으로 추정하고 있다. 정부 예비타당성 통과에 따라 재생계획 수립 비용 및 도로'공원'주차장 등 기반시설에 국(50%)'시비(50%) 4천600억원을 투입할 수 있게 됐지만 토지 보상 및 아파트형 공장 분양 등 최소 1조원 이상의 민자 유치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사업시행 예정자로 시와 사업 협의를 진행했던 LH 대구경북본부 측은 "민자 사업은 국비 지원과는 별개"라며 "대구국가산단, 테크노폴리스 개발로도 벅차다. 산업단지 미분양이 잇따르는 시점에서 또 사업을 벌일 수는 없다"고 잘라 말했다.
대구도시공사 역시 LH와 함께 국가산단 토지보상에 추가로 나서는데다 수성의료지구 개발까지 앞둬 더 이상 여력이 없다.
두 기관은 토지 보상 이후 아파트형 공장을 짓는다는 계획이 비싼 도심 땅값을 고려할 때 사업성이 낮다고 분석하고 있다. 대구 도심 노후공단의 모델로 꼽히는 서울 구로공단 경우 입주 기업 스스로 아파트형 공장을 건립해 첨단산업단지로 변신했으나 영세한 3공단 및 서대구공단 경우 수요 확보도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국비는 확보됐지만 재생 사업 표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대구시가 연내 재생사업 지구 지정 및 시행계획 수립 용역을 추진하고 있으나 사업 시행자 선정이 지연되면 사업 추진 자체가 힘들기 때문이다.
지역 건설업계는 "정부 차원의 대폭적 국비 인센티브나 세제 감면 등 사업 시행자의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조치가 추가적으로 있어야 민자 사업 추진이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대구시는 사업 시행자 유치에 모든 채널을 열어두겠다는 방침이다. 포스코건설 등 민간(80%)과 대구시(20%)가 SPC를 설립해 개발한 이시아폴리스처럼 제3의 민간기업까지 두루 검토하겠다는 것.
대구시는 "국토해양부가 노후화된 산업단지를 환경친화적 단지 및 첨단산업단지로 재생한다는 목표 아래 대구뿐 아니라 대전, 부산 노후공단에 대한 국비 지원을 동시에 진행했다"며 "정부의 의지가 강한 만큼 조만간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상준기자 all4you@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탄핵 반대, 대통령을 지키자"…거리 정치 나선 2030세대 눈길
젊은 보수들, 왜 광장으로 나섰나…전문가 분석은?
민주, '尹 40% 지지율' 여론조사 결과에 "고발 추진"
윤 대통령 지지율 40%에 "자유민주주의자의 염원" JK 김동욱 발언
"尹 영장재집행 막자" 與 의원들 새벽부터 관저 앞 집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