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마크' 있으면 믿을만한 클라우드 서비스
방송통신위원회는 품질과 보안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클라우드 컴퓨팅 업체에 구름 모양의 인증마크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인증제'를 시행한다고 16일 밝혔다.
방통위는 이 제도를 통해 현재 초기 단계에 있는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의 수준을 높이고, 인지도가 낮은 중소기업도 품질만 좋으면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심사 대상은 단순한 웹하드나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외한 클라우드 서비스다. 이 제도는 민간단체인 ㈔한국클라우드서비스협회가 관리할 예정이다.
평가는 품질, 정보보호, 기반 등 3대 분야 7개 항목(가용성, 확장성, 성능, 데이터 관리, 보안, 서비스 지속성, 서비스 지원)에 대한 105가지 세부문항을 토대로 진행된다.
클라우드 인증을 받으려면 전체 심사 항목 가운데 39개 필수항목을 모두 충족하고 총점을 100점 만점으로 환산했을 때 70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 결과는 합격(Pass)과 불합격(Fail)으로 나뉜다.
인증은 인증마크(인증서)를 발급받은 날로부터 2년간 효력이 유지된다. 업체는 인증서를 사업장에 게시하거나, 홍보물·방송·신문·인터넷 등 매체에 인증마크를 공표할 수 있다. 또, 인증서가 있으면 정부 사업에 참여할 때 가점을 받을 수 있다.
방통위는 앞으로 인증제를 여러 등급으로 세분하거나, 민간 인증이 아닌 정부 인증으로 격상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인증을 받고자 하는 업체는 다음 달 1일부터 한국클라우드서비스협회에 전화(☎070-8730-2343)나 홈페이지(www.kcsa.or.kr)로 심사를 신청하면 된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