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테크노파크(기술 부문) 및 대경창업투자(자금 부문)와 연계해 '대구투자유치센터'를 설립한다.
2014년까지 투자유치 6조원을 목표로 내건 시는 유치 채널 다양화 및 전문화 차원에서 센터 설립을 확정한 데 반해 지역경제계에서는 유치 조직 중복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동시에 나오고 있다.
안 그래도 시와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으로 이원화된 기존 조직 체계에 센터까지 가세하면 각개전투식 기업 유치 행태가 더욱 심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대구시와 테크노파크는 18일 동구 신천동 테크노파크 빌딩에서 센터 개소식을 가질 예정으로, 이달 11일부터 투자유치 및 기업설명회(IR) 홍보 활동 전문가 채용 공고(27일 마감)를 병행하고 있다.
센터장(비상근)으로는 대경창업투자 신장철 대표를 임명하고, 직원 채용이 마무리되는 대로 연간 2억원 이상의 운영비 등을 본격 지원하며, 투자유치 및 IR 전문가 2명 채용에 테크노파크 근무 인력 1명을 충원해 모두 3명의 직원으로 출발한다는 계획이다.
시의 센터 설립 배경에는 기존 투자유치 기업 발굴 통로가 코트라나 민간 컨설팅 업체 등 외부 기관 중심으로 한정돼 지역 내부의 전문화된 별도 조직을 육성해야 한다는 판단이 자리 잡고 있다.
시는 "투자유치는 정책, 기술, 자금 3박자가 두루 갖춰져야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며 "테크노파크와 대경창투를 활용해 기존 공무원조직(투자유치단)에서는 처리하기 힘든 기술, 자금 부문 상담'지원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센터 운영이 임박하면서 내외부 논란이 점점 불거지고 있다. 외부에서는 조직 중복 및 역할 부재 가능성을 우려한다. 사무실 하나에 비상근 센터장, 직원 3명으로는 제대로 된 역량 확보가 힘들다는 것. 무엇보다 대구시의회 등에서 지난 2008년 경제자유구역 투자유치를 기치로 내걸고 출범한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과 대구시 투자유치단의 조직 체계를 일원화해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되고 있는 시점에서 오히려 투자 유치 조직을 더 세분화해서야 되겠느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내부에서는 테크노파크 조직의 비대화를 지적한다. 신기술 발굴 육성을 목표로 대구시 및 정부 출자 기관으로 설립된 테크노파크는 3단, 4특화센터, 3대학센터, 1실의 조직 구조로 비대해지면서 운영상 허점이 노출되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해 왔고, 투자유치센터까지 추가로 들어서면 조직 비대화를 더욱 부추길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지역 연구개발(R&D) 기업 지원기관이라는 테크노파크 본연의 업무를 활용해 투자 유치 기업 발굴 및 지역 기업 연계 육성에 힘을 실을 수 있다"며 "대구시 투자유치단이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할 예정으로, 중복 시비나 조직 비대화와는 무관하다"고 해명했다.
이상준기자 all4you@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