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가족해체' 부모 부양 희망 12년새 54%p 급감

'가족해체' 부모 부양 희망 12년새 54%p 급감

부모를 부양하려는 자녀가 급감하고 자식과 동거하지 않겠다는 성인이 많이 늘어나는 등 가족의 연대 의식이 급격히 약화하는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은 10명 중 1명꼴로 트위터나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네트워크(SNS)를 이용하고 저소득층이 주로 이용하는 연탄 등 에너지원의 가격이 크게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수입농산물의 농약 오염에 대해 국민 대다수가 불안을 느끼고 있으며 우리나라 전기요금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낮았다.

◇'자녀가 부모 부양해야 한다'에 동의 36%에 불과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11'을 보면 급속한 고령화와 사회 가치관 변화의 영향으로 노후준비의 필요성이 증대됐다.

'자녀가 부모를 부양해야 한다'는 의견에 동의하는 비율이 1998년 89.9%에서 2010년엔 36.0%로 급감했다. '자녀와 같이 살고 싶다'는 비율도 2002년 53.0%에서 지난해 29.0%로 덩달아 떨어졌다.

이에 따라 노후를 준비하는 비율이 1998년 32.9%에서 지난해 65.7%로 2배가량으로 증가했다. 남성이 73.2%로 여성(58.5%)보다 노후를 대비하는 이들이 많았다. 교육수준별로 대졸 이상에서 노후준비 비율이 80.5%로 가장 높았다.

빈곤층의 인구학적 특성을 보면 학력이 중졸 이하(53.6%), 여성 가구주(48.3%), 65세 이상(45.6%), 1인 가구(41.7%)가 가구주일 때가 빈곤층일 비율이 높았다. 빈곤층이 아닌 여성 가구주의 비율은 20.8%로 빈곤층의 여성가구주 비율의 두 배 이상이었다.

전체 평균소득이 100이라고 하면 65세 이상 노인가구의 평균소득은 38.4에 불과했다. 1인 가구는 70.4, 여성가구주는 73.0, 중졸 이하는 81.6이었다

◇트위터 이용자 1년6개월만에 9배 증가

트위터를 이용하는 이들이 단기간에 급증, SNS 이용자가 국민 10명 중 1명 이상에 달했다.

트워터 이용자 수는 2010년 6월 63만2천명이었지만 1년6개월 후인 지난해 12월엔 544만명으로 9배 수준으로 급증했다. 페이스북 이용자도 535만6천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 기준 우리나라 전체 인구가 4천978만명이니 10명 중 1명 이상은 SNS를 이용하는 셈이다. 만 12~49세 인터넷 이용자 중에선 76.4%가 SNS를 이용했다.

SNS 이용자들은 대개 인맥관리(76.1%)나 정보교류(59.8%)를 목적으로 사용한다고 답했다. 트위터는 인맥관리(66.5%)보다 정보교류(81.6%)를 위해 사용되지만 페이스북은 인맥관리(83.3%)를 위해 사용한다는 비율이 정보교류(63.3%)보다 높았다.

페이스북 이용자의 연령을 보면 18~24세(36.0%)와 25~34세(31.0%)가 다수였다. 45~54세(7.0%)와 55~64세(2.0%) 등 중장년층도 있었다.

◇'자녀가 부모 부양해야 한다'에 동의 36%에 불과

급속한 고령화와 사회 가치관 변화의 영향으로 노후준비의 필요성이 증대됐다.

'자녀가 부모를 부양해야 한다'는 의견에 동의하는 비율이 1998년 89.9%에서 2010년엔 36.0%로 급감했다. '자녀와 같이 살고 싶다'는 비율도 2002년 53.0%에서 지난해 29.0%로 덩달아 떨어졌다.

이에 따라 노후를 준비하는 비율이 1998년 32.9%에서 지난해 65.7%로 2배가량으로 증가했다. 남성이 73.2%로 여성(58.5%)보다 노후를 대비하는 이들이 많았다. 교육수준별로 대졸 이상에서 노후준비 비율이 80.5%로 가장 높았다.

빈곤층의 인구학적 특성을 보면 학력이 중졸 이하(53.6%), 여성 가구주(48.3%), 65세 이상(45.6%), 1인 가구(41.7%)가 가구주일 때가 빈곤층일 비율이 높았다. 빈곤층이 아닌 여성 가구주의 비율은 20.8%로 빈곤층의 여성가구주 비율의 두 배 이상이었다.

전체 평균소득이 100이라고 하면 65세 이상 노인가구의 평균소득은 38.4에 불과했다. 1인 가구는 70.4, 여성가구주는 73.0, 중졸 이하는 81.6이었다.

◇저소득층 에너지소비 연탄, 석유류 의존도 높아

저소득층이 주로 이용하는 에너지원인 연탄과 등유의 가격이 크게 올라 에너지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소비는 소득에 관계없이 가스류 의존도가 가장 높았다. 저소득층은 연탄과 석유의 의존도가 높지만 고소득층은 열에너지로 소득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2007년 현재 100만원 미만에서 연탄 의존율은 5.6%, 석유류는 26.5%였지만 600만원 이상은 연탄 이용자가 없었고, 석유류는 3.4%에 불과했다. 그 대신 이 소득계층에서 열에너지 의존율이 25.9%로 가장 높았다.

가격 상승률은 등유, 연탄, 전력 순으로 높았다. 1990년 대비 2009년에 등유는 5.1배, 연탄은 2.2배, 전력을 1.6배 올랐다.

친환경 행동에 참여하려는 노력 정도는 연령이 높을수록 높았다.

전체적으로 재활용품을 분리배출하려고 노력한다는 비율이 89.4%로 가장 높았고, 환경·자연보호 운동에 참여하려고 노력한다는 비율은 30.2%로 가장 낮았다.

친환경 행동 대부분이 가사활동과 연관된 탓에 30대를 기점으로 노력 비율이 크게 올랐다. 특히 에너지절약형 제품을 사려고 노력하는 비율이 20대 58.9%에서 30대 72.6%로 껑충 뛰어올랐다.

환경보호를 위한 부담금을 찬성하는 비율은 2001년 27.3%에서 2010년 30.4%로 3.1%포인트 증가했다. 찬성하지 않은 비율은 같은 기간 39.4%에서 30.7%로 8.7%포인트 감소했다.

1년 전과 비교한 체감환경은 1997년 이후 크게 개선되고 있다.

대기환경이 1년 전보다 좋아졌다고 응답한 비율이 1997년 1.7%에서 2010년 11.4%로 증가했다. 수질은 2.9%에서 11.4%, 녹지환경은 7.5%에서 19.9%로 많이 늘었다.

수입농산물의 농약 오염에 대해 불안하다는 이들이 81.0%에 달했다.

한국의 전기요금은 ㎾h당 주택용이 7.7센트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낮았다. 미국 11.6센트, 일본은 22.8센트로 한국의 1.5배, 3배 수준이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