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액화석유가스(LPG) 차량 등록 대수가 처음으로 감소했다.
19일 대한LPG협회에 따르면 2011년 LPG 자동차 등록 대수는 244만5천112대로 2010년보다 1만584대 감소했다. 전체 자동차 등록에서 LPG 차량이 차지하는 비율도 2010년 13.7%에서 지난해 13.3%로 소폭 떨어졌다.
LPG 차량 등록 대수는 집계가 이뤄진 1999년(78만6천72대) 이후 해마다 증가했다.
2000년 121만4천83대로 100만 대에 진입했고, 2006년(204만7천402대)에는 등록 대수 200만 대를 돌파했다. 이후 꾸준한 증가세를 보여 2010년에는 245만5천696대로 최고치를 보였다.
반면 전 세계적으로 LPG 차량은 매년 7~10%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2010년 말 기준 세계 LPG 차량 운행 대수는 모두 1천813만대로 2009년(1천653만대) 대비 9.7% 늘었다.
LPG가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로 부각되면서 터키와 폴란드, 독일 등 유럽지역을 중심으로 LPG 차량이 인기를 얻고 있다. 터키는 2010년 말 보급 대수 290만 대를 기록해 부동의 1위였던 우리나라를 제쳤다.
국내 LPG차 증가세 둔화에는 LPG의 가격경쟁력 하락에 따른 차종 감소가 영향을 끼쳤다고 협회는 분석했다. 1999년 휘발유 대비 LPG 상대가격비는 39(휘발유를 100으로 보았을 때 LPG 가격)에 불과했지만 1'2차 에너지 세제개편(2001, 2005년)에 따른 세율 인상 등으로 지난해에는 56까지 올랐다.
협회 관계자는 "2001년 19종에 달했던 LPG차는 세제개편 후 가격상승으로 판매부진을 겪으면서 차종수가 10여 종으로 줄어들어 보급대수 감소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김봄이기자 bo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