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남·부산, 수돗물 해결 제 갈 길 가나

경남·부산, 수돗물 해결 제 갈 길 가나

경남도와 부산시가 먹는 물 해결을 위한 방안을 놓고 논란만 벌이다가 결국 서로 딴 길을 가고 있다.

경남도는 3억5천만원을 들여 친환경 대체 수원지 개발을 위한 예비조사 용역을 내달 중 발주할 계획이라고 23일 밝혔다.

경남도가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은 유럽식 인공습지·인공함양을 통한 청정 상수원수 확보 방안이다.

적지를 찾아 소규모 시설을 만들어 실증실험을 한 뒤 낙동강이나 남강변에서 하루 100만t 가량의 수돗물을 생산한다는 것이다.

이에 비해 수자원공사는 경남 낙동강 일원에 대규모 강변여과수를 개발, 부산으로 공급키로 하고 도수관로 설치를 위한 기본·실시설계 용역을 85억원에 발주했다.

내년 6월말 용역이 완료되면 창녕 정산가압장에서 부산까지 45㎞에 이르는 도수관로 매설 구간과 사업규모가 결정될 예정이다.

국토해양부와 수공이 현지 지방자치단체나 주민들과 사전 협의도 제대로 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강행하고 있는 것이다.

부산시와 경남도는 수질오염사고에 취약한 낙동강 표류수를 취수해 수돗물을 생산하는 방식에서 벗어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해왔다.

그런데 정부와 부산시가 1급수인 남강댐 물을 부산으로 가져가겠다는 계획을 밝히면서 논란이 촉발됐고, 제각각 딴 방식의 해결책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이다.

경남도는 지난해 2월 유럽 현지 방문을 거쳐 인공습지와 인공함양 방식을 국토부와 부산시에 제안했지만 냉담한 반응을 얻었다.

그렇지만 이미 유럽에서 검증된 방식이라며 파일럿 테스트 등을 통해 수질검증을 거쳐 본격 생산에 들어가면 부산시에도 청정수를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낙동강 물은 먹지 않겠다던 부산시는 남강댐 물 공급이 어려워지자 일단 강변여과수 사업에 기대를 걸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여과수 사업지가 부산 인근이 아닌 경남 창녕으로 결정된데다 부산시가 추가로 확보하려는 물량보다 27만t이 모자라 남강댐 물 공급을 여전히 추진하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사고 있다.

수자원공사 수도개발팀 박희일 차장은 "부산과 가까운 곳에는 바닷물이 유입되는데다 하류로 갈수록 뻘이 많아 여과수 생산에 부적합하기 때문에 창녕 등지로 결정됐다"고 밝혔다.

박 차장은 또 "여과수 생산 예정지 주민들의 반대는 설계과정에서 검토하고, 주민·지자체와 협의를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남강댐과 연결하기 위한 사전 공사라는 주장에 대해 그는 "관 지름을 2천300㎜로 정한 것은 여과수 생산 예정량인 68만t만을 예상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경남도는 이 같은 해명을 불구하고 여전히 국토부와 부산시 등에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대신 인공습지 사업 용역 중간보고 등 과정에 국토부와 부산시 관계자를 참여시켜 사업 타당성과 청정 원수를 확인시킨다는 계획이다.

인공습지 조성방식은 용역을 통해 효과가 검증되면 부산시가 호응하지 않더라도 낙동강 표류수를 이용하고 있는 중동부 경남주민들을 위해선 필요한 사업이다.

이에 비해 수공이 진행하는 강변여과수 사업은 주민 반대와 국토부 방침 변경 등 사정으로 중단될 경우 용역비를 날리고 양 지역간 갈등의 골만 키우는 꼴이 될 전망이다.

국토환경연구소 최동진 소장은 "강변여과수도 수질사고에 그대로 노출돼 있고 정화능력에도 한계가 있다"며 "인공습지 사업을 공동연구하고 추진, 낙동강 유역 공동체를 건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한 바 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