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피로 푸는 스파, 잘못하면 피부 늙는다
명절 연휴에 가족나들이로 흔히 찾는 곳이 스파다. 주부는 설 준비로 지친 몸과 마음을 쉴 수 있고, 자녀는 가벼운 물놀이로 몸과 마음이 즐거워지는 곳이다.
실제로 스파는 체내 독소와 노폐물의 배출을 돕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몸에 좋은 스파도 잘못하면 피부에 독이 될 수 있다. 피로 회복에 좋은 물 온도와 피부에 좋은 온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근육을 이완시키고 체내 노폐물 배출을 돕기 위해서는 수온이 40도가 살짝 넘어야 하는데, 이는 피부에 좋은 물 온도 35도보다는 훨씬 뜨거운 온도에 해당한다.
특히 40도가 넘는 고온에서 장시간 입욕하면 피부 탄력이 떨어져 주름이 생기기 쉽다. 피로도 풀고 피부도 보호하는 스마트한 스파 이용법을 소개한다.
◇장시간 고온에 노출되면 열노화 발생 = 피부가 열을 받아 온도가 상승하면 혈액순환이 원활해지고 신진대사가 활발해져 생생해질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물론 어느 정도까지는 그렇다.
하지만 스파는 수온이 40도를 넘어 50도에 육박하는 곳도 많아 오히려 열에 의한 피부 노화를 부를 수 있다.
피부온도가 올라가면 피부 탄력성분인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가 증가하고, 피부 탄력섬유의 기둥 단백질이라고 할 수 있는 피브린의 합성이 감소한다. 이로 인해 피부 탄력이 줄고 이는 주름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열에 의한 피부 노화는 스파뿐만 아니라 찜질방, 사우나 같은 곳에서도 마찬가지다.
◇온탕 입욕→미온수 샤워→수분 보충, 3단계 스파 권장 = 스파는 피로회복에는 도움이 되지만 피부에는 독이 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선을 지켜야 한다.
우선 시간이 중요하다. 너무 오랫동안 탕 안에 있지 않아야 하는데, 수온은 뜨겁지 않을 정도가 적절하다. 팔꿈치를 탕에 담갔을 때 따뜻한 온도가 35도 내외다. 하지만 적절한 수온이라고 하더라도 30분을 넘기지 않는 게 좋다. 물 온도가 살짝 뜨거운 정도라면 10~20분으로 줄여야 한다.
만약 실외 스파를 즐긴다면 자외선에 대한 대비도 해야 한다. 눈 덮인 야외는 스키장과 마찬가지로 난 반사에 의해 자외선이 강하다. 자외선과 온탕의 열이 함께 가해지면 피부는 더쉽게 늙는다. 이는 쥐를 이용한 자외선 노출 실험에서도 확인된 바 있다.
자외선과 열선에 함께 노출된 쥐는 자외선만 쬔 쥐에 비해 주름살이 20~30% 더 많이 생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외 스파를 이용할 생각이라면 자외선 차단제를 준비하는 세심함도 필요하다.
아울러 스파를 나온 후에는 미지근한 물로 샤워해 피부 온도를 떨어뜨리면 피부 열노화를 막는 데 도움이 된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