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낙동강 오염 대비한 근본적인 급수 대책 급하다

낙동강이 오염될 경우 비상 급수 체계를 가동하더라도 달서구와 달성군 등 대구 전체의 절반에 가까운 지역에 수돗물을 공급할 수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구시의 급수 체계가 낙동강 물에 과도하게 치중된 탓에 낙동강 오염 시 대구가 극심한 물난리를 겪을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는 것이다.

대구시가 낙동강과 주변 댐에서 확보하는 취수량은 하루 평균 75만 8천t이다. 운문댐과 가창댐에서 취수하는 23만여t은 수성구와 동구 일부, 공산댐의 2만 5천t가량은 북구 일부에 공급하는 데 그치고 있다. 매곡'문산정수장에서 취수하는 낙동강 물은 하루 50만t가량으로 대구 전체 음용수의 66%에 이를 정도로 낙동강에 편중돼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낙동강 상류 지역이 오염된다면 대구시민들은 상상하기 힘든 급수 대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취수 불가능 사태에 빠질 경우에 대비해 대구시가 주변 댐의 취수량을 두 배로 늘리고 급수차'소방차 200여 대를 동원하는 비상 급수 대책을 세워놓고 있다. 하지만 아무리 대체 취수량을 늘려도 30만t가량이 부족해 별도의 취수원을 확보하지 않는 이상 대구시의 대책은 한계가 분명해 보인다.

이런 극단적인 상황에 빠지지 않으려면 상류 지역의 오염을 막는 등 안정적인 수질 관리가 가장 현실적인 대책이다. 낙동강 일원의 모든 지자체가 협력해 낙동강 오염을 철저히 막는 길밖에 없는 것이다. 하지만 페놀 사태와 같은 심각한 오염 사고가 재발하지 않는다고 보장하기 힘들다. 따라서 대구시는 중장기적으로 취수원 이전과 취수원 다각화 등 가능한 모든 대책을 세워나가야 한다. 이번에 노출된 문제점을 토대로 급수 체계 전반에 걸쳐 재점검하고 보완책과 함께 근본 대책을 시급히 강구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