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 탈락-심사 불공정성 제기-탈당-무소속 출마-무소속 후보 연대 결성-당선-복당'. 정치권에서 4년마다 반복돼 온 이 같은 현상이 이번 제19대 국회의원선거에서도 재연될까? 결론부터 말하면 '그렇다'이다.
여야가 일부 공천결과를 발표하고 이에 불만을 표시하는 인사들이 대거 출현하면서 '이번에도 예외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새누리당에서는 친이명박 대통령 진영 인사들이, 민주통합당에서는 구(舊) 민주계가 들썩이고 있다. 아직까지 각 정당의 공천작업이 완료되진 않았지만 공천 과정이 공정하지 않다며 벌써부터 '별도 세력화'를 언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새누리당에선 'MB맨'들이 이를 갈고 있다. 안상수 전 한나라당 대표는 당이 자신의 지역구인 경기도 과천'의왕 선거구를 전략공천지역으로 지정하자 지체없이 '무소속 출마 가능성' 카드를 빼들었다. 안 전 대표는 1일 한 라디오방송 인터뷰에서 "불공정 공천에 대해 중대한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다"며 "무소속 출마를 원하는 주민들의 요구 등을 감안해 무소속 연대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동관 전 청와대 홍보수석 역시 출마를 준비해온 서울 종로구가 전략공천지역으로 지정될 것이라는 소문이 돌자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그는 "불공정 경선이나 낙하산식 공천이 이뤄진다면 중대 결단을 할 수밖에 없다"며 배수진을 쳤다. 친이계에서는 좌장격인 이재오 의원의 공천 확정 이후에도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당의 공천 과정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민주통합당에선 옛 민주계들이 반발하고 있다. 지난달 29일 3차 공천 발표에서 탈락한 다선 원로들이 전면에 나섰다. 서울 관악갑에서 고배를 마신 한광옥 상임고문은 "무소속 출마를 불사하겠다"며 1일 옛 민주계 인사들과 만나기 시작했다. 경선 관문도 돌파하지 못한 김덕규(서울 중랑을) 전 국회 부의장 역시 "내 정치 역정과 양심, 신념이 과연 옳았는지 지역구민과 함께 고민하고 평가받을 것"이라며 무소속 출마 의사를 표시했다. 옛 민주계는 친노 진영 중심의 공천 편중 상황을 봐가며 대응 수위를 조절할 예정이다.
대구'경북지역 역시 예외가 아니다. 정치권에서는 새누리당의 물갈이 폭에 따라 무소속으로 출마할 가능성이 있는 현역 국회의원들이 선거 정국에 큰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유광준기자 jun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