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韓美FTA 수혜자는 '먹거리'…국내 유통업체 식품수입 준비

한미 FTA(자유무역협정)가 발효되면 국내 유통업체들은 미국으로부터 먹을거리를 가장 많이 수입할 것으로 전망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유통기업 250곳을 대상으로 한미 FTA 활용계획을 물은 결과 '가공식품'이라는 대답이 29.1%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신선식품'(27.9%), 잡화(18.6%), 화장품(12.8%), 의약'건강보조식품(11.6%), 주류(9.3%), 의류(7.0%) 순이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국내산 가격보다 싼 삼겹살, 치즈, 오렌지 등 식료품 수입이 증가하면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부담이 줄어들고 선택권도 넓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한미 FTA 발효 후 미국산 수입상품 판매가격을 내릴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54.0%의 기업이 '그렇다'라고 답했다. '변화 없다'는 의견은 31.2%였다.

가격 인하방안에 대해서는 24.4%가 '관세 인하분 만큼 내리겠다'고 응답했으며 75.6%는 판촉비 증가, 복잡한 유통구조 등으로 '관세 인하분 중 일부만 반영하겠다'고 답했다. 이와 함께 유통기업 42.0%는 '한미 FTA가 유통산업 선진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그 이유로는 '상품가격 하락'(47.7%), '신규 사업기회 확대'(27.7%), '상품품질 개선'(21.5%) 등을 꼽았다.

한미 FTA가 국내 유통시장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칠 시기에 대해서는 '발효 1년 이후'가 59.8%로 가장 많았다. '발효 즉시'(23.6%), '발효 3년 이후'(8.6%), '발효 5년 이후'(8.0%) 등이 뒤를 이었다. FTA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정부 지원 과제로는 '통관절차 등 무역정보 제공'(33.2%), 'FTA 활용교육 확대'(20.0%), '해외시장 정보제공'(20.0%), '원산지 증명절차 간소화'(18.0%) 등을 제시했다.

임상준기자 news@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