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가 쇄신 희생양" 역풍 우려 '편법' 고심

TK 발표 늦어진 이유는

2차 공천자 발표를 앞두고 영남권 중에서 특히 대구경북 공천이 진통을 거듭하고 있다.

5일 새벽까지 공천심사작업을 벌인 새누리당 공직후보자추천위원회는 오전 다시 전체회의를 속개, 대구경북 공천자 및 전략지역과 경선지역 명단에 대한 재검토에 나섰다.

공천위가 이처럼 대구경북 공천을 둘러싸고 '조심스러운 행보'에 나서고 있는 것은 자칫하다가는 공천에서 탈락할 현역의원들의 반발은 물론, 지역 여론의 역풍을 우려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지난 주말까지 공천위 분위기는 대구는 70%, 경북은 50% 정도 현역 국회의원을 교체하는 쪽으로 분위기가 잡혔다. 그러나 수도권 현역의원 탈락률이 최소화될 것이라는 전망과 맞물리면서 대구가 쇄신의 희생양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 다시 제기되면서 지역여론이 미묘한 변화를 보이자 공천위는 방침을 다시 바꿨다.

즉, 교체 대상 지역에 대한 경선 실시 등의 '편법'으로 역풍을 피해보자는 쪽으로 방향을 수정했다.

이 과정에서 새누리당 강세지역인 대구경북에 대한 대대적인 인적쇄신을 통해 박근혜 비대위원장의 공천개혁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는 친박계 핵심의 기류와 대구를 표적 삼는 듯한 지나친 물갈이는 역풍을 불러올 것이라는 반론이 맞부닥쳤다. 대세는 대폭적인 인적쇄신이 불가피하다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박 위원장의 의중 역시 '공천을 통해 국민들이 기대하는 눈높이 수준에 다가가야 한다'는 것으로 정리돼 공천위에 전달되면서 다른 지역보다 강도 높은 교체가 필요하다는 쪽으로 분위기가 형성됐다는 것이다.

유승민 전 최고위원과 최경환 의원 등 지역 친박계 핵심인사들의 입장도 엇갈렸다. 유 전 최고위원이 '상식에 입각한 공천'을 이유로 대대적인 물갈이에 제동을 걸고 있다면, 최 의원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며 대대적인 물갈이를 강하게 독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공천위 안팎에서는 공천을 주도하는 세력 내에서 친이계 인사들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갖고 확산시키고 있다는 소문도 나돌고 있다.

친이계로 분류되고 있는 대구의 주호영, 이명규 의원, 경북의 이병석, 강석호 의원의 공천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는 것도 그 때문이다. 특히 주 의원에 대해서는 친박 소장그룹에서 특임장관 경력 등을 거론하면서 비토해야 한다는 분위기를 확산시키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면서 대구 수성을은 전략지역과 경선지역을 왔다갔다 했다. 이한구 의원에 대해서도 공천위 일각에서 제동을 걸고 나서면서 수성갑, 을 두 선거구는 이번 공천의 최대 관심지역으로 떠올랐다. 또한 현 정부에서 청와대 근무 경력이 있는 예비후보자들은 친이계라는 이유로 공천위의 1차 관문을 통과하기가 어려운 분위기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지역 정치권에서는 이번 2차공천 발표에서 공천이 확실시되는 친박계 인사들에 대한 부정적인 기류도 형성되고 있어 주목되고 있다. 안정권에 들었다는 친박계 인사들 가운데 다수는, 공천이 불확실한 친이계 등 비친박계 인사들에 비해 지역기여도가 높지 않거나 오히려 못하다는 지적도 없지 않다. 게다가 정치적 중량감도 크게 떨어진다는 이야기도 있다.

지역 정치권에서는 '대구가 인적쇄신의 상징이 돼야 한다는 명분이 없다'는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새누리당의 강세지역이라는 이유만으로 쇄신의 아이콘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지지율이 높다는 것이 물갈이의 이유가 될 수는 없다"는 주장이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