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의 동쪽 섬 동도 정상에 자리 잡은 대포(大砲)의 문화재 지정 추진이 정부 내 반대로 좌절됐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런 비화는 총선 예비후보인 엄승용(보령'서천) 전 문화재청 사적명승국장에 의해 최근 공개됐다. 문화재청이 2008년 추진했던 이 일은 '일본을 자극할 수 있다'는 이유 때문에 묵살됐다고 한다.
국민들은 이 대포 한 문(門)을 영토 주권 및 독도 수호의 상징처럼 각인하고 있다. 50인치 함포로 1946년 미국이 만들었고, 1978년 우리 해군이 인수해 사용하다 경찰이 1981년 넘겨받아 독도 정상에 설치했다. 1996년까지 경찰의 정기 훈련 때 사용했으나 이후 낡아 지금은 사용을 않고 있다. 고철 덩어리에 불과할지 모르지만 독도 대포는 시간이 갈수록 국토 수호 의지가 깃든 역사물이 되고 있다.
일본은 1950년대 한국전쟁의 혼란한 틈을 타 독도를 침범하곤 했다. 이에 당시 전쟁 참전 용사인 울릉의 홍순칠 대장 등 32명의 독도의용수비대들이 나섰다. 이들은 권총과 수류탄, 해산물을 팔아 산 박격포 등 열악한 무기로 일본의 순시함과 비행기에 맞서 온몸을 던져 막았다. 3년 8개월에 걸친 외로운 독도 수호 임무는 그들의 손때 묻은 무기와 함께 경찰이 물려받았다. 그들의 옛 무기에 담긴 국토방위 의지를 대포가 잇게 된 셈이다.
2008년은 이명박 정부 출범 후 첫 한일 정상회담이 있던 해였다. 양국 관계를 고려, 정부가 대포의 문화재 지정 추진을 반대한 것으로 보인다. 폭로 전문 사이트인 위키리크스에 의해 최근 공개된 '한국이 독도로 일본을 압박하고 싶어하지 않았다'는 관련 외교 전문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정부 주도가 곤란하면 독도를 관할하는 경북도와 울릉군이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두 지자체는 독도에 각종 사업도 진행하고 있지 않은가. 두 지자체의 전향적인 자세를 기대한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