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과 주변 풍광의 아름다움은 선현(先賢)들의 글 속에서 더욱 빛이 난다. 자연 친화를 넘어 자연 앞에서 겸손할 줄 알았던 선현의 글은 오늘날 낙동강 앞에선 사람들을 비춰주는 거울이 된다.
퇴계 이황은 '도산잡영'(陶山雜詠)을 통해 낙동강을 생생히 묘사했다. "금 같은 모래와 옥 같은 조약돌이 맑게 빛나며, 검푸르고 차디차다… 우거진 소나무는 해를 가리고, 위로 하늘에는 새가 날고, 아래로 물에는 물고기가 뛰며… 물에 비친 그림자가 흔들리어 강산의 훌륭한 경치를 다 볼 수 있으니…."
퇴계는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에서 묘사를 넘어 심경을 풀어냈다.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찌하리/초화 우생(愚生)이 그렇다고 어찌하리/하물며 천석고황을 고쳐 무삼하리오/연하(煙霞)로 집을 삼고 풍월로 벗을 삼아/태평성대에 병으로 늙어가니/이 중에 바라는 것은 허물이나 없고나…."
류길은 '하회도시'(河回圖時)에서 정감을 드러냈다. "맑고 깊은 낙동강물/사립문에 들어오려 하고/천리에 먼 배들/여기 오기 드물구나/조령의 산천은 기후에 통하고/용궁의 나무는 아지랑이를 안았네/땅은 그림붓을 따라와서/다하여 막히고/사람은 티끌에 매이어/옛 물가를 꿈꾼다."
'영가지'(永嘉誌)를 편찬한 권기는 낙동강변의 망천절벽(안동 풍산읍 마애리)에 대해 "절벽이 옥을 깎아지른 듯 여러 봉우리가 삼면에 경치를 이루고 넓은 들, 맑은 모래, 그 경치와 기상은 언어로 다 형용하지 못하겠다"고 감탄했다. 안동에 대한 예찬도 늘어놓았다. "산천의 빼어남과 인물의 걸출함과 토산의 풍부함과 풍속의 아름다움, 그 기이한 발자취가 있는 고을이 바로 안동이다."
최성달(46) 안동시 역사기록관 겸 시나리오 작가는 "옛 선현들은 낙동강의 아름다움을 문학작품으로 승화해 오늘날까지 그 감흥을 전하고 있다"며 "오늘날 낙동강 살리기를 통해 생태환경을 복원하고 옛 이야기를 재발견한다면 강은 새로운 문화자원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서광호기자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