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스마트폰 데이터, 공짜만 즐겨요"

표준요금제 115만명 달해 데이트는 와이파이 이용

사진=스마트폰을 표준요금제로 가입하고 데이터서비스는 와이파이로 이용하는 알뜰 가입자들이 많다. 스마트 전용 요금제를 이용하는 것보다 월 1만원가량 요금을 절약할 수 있지만, 약정 할인 혜택이 큰 고가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오히려 손해가 될 수도 있다. 사진은 삼성전자의 중저가 스마트폰
사진=스마트폰을 표준요금제로 가입하고 데이터서비스는 와이파이로 이용하는 알뜰 가입자들이 많다. 스마트 전용 요금제를 이용하는 것보다 월 1만원가량 요금을 절약할 수 있지만, 약정 할인 혜택이 큰 고가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오히려 손해가 될 수도 있다. 사진은 삼성전자의 중저가 스마트폰 '갤럭시 m스타일'. 삼성전자 제공

'표준요금제 가입하고, 데이터서비스는 와이파이로.'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표준요금제로 이용하는 가입자가 115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스마트폰 이용자(2천500만 명)의 5% 수준이다.

표준요금제는 월 기본료만 정해져 있고 나머지는 이용량만큼 요금을 내는 형태다. 대부분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가입할 때 다양한 할인 혜택 때문에 스마트폰 전용요금을 이용하지만 최근에는 표준요금제를 이용해 통신비를 절약하려는 알뜰족이 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SK텔레콤을 기준으로 표준요금제는 월 기본료 1만1천원이고, 음성통화료는 1초당 1.8원이다. 스마트폰 전용 요금제의 경우 월 기본료가 최저 3만4천원이고 음성통화 150분, 문자메시지 200건이 주어진다. 같은 양의 음성통화와 문자메시지를 이용할 경우 표준요금제는 2만원이 조금 넘는 요금이 부과된다. 월 1만원가량의 통신비를 절약할 수 있는 셈이다.

다만 스마트폰 전용요금제는 데이터 서비스가 추가로 제공된다. SK텔레콤과 KT는 3만4천원 스마트폰 요금제를 이용하면 월 100MB(메가바이트)의 데이터를 지원한다. 반면 표준요금제는 데이터 서비스가 기본적으로 제공되지 않고 이용하게되면 스마트폰 전용요금제에 비해 MB당 요금이 비싸다.

이 때문에 표준요금제를 이용하는 가입자들은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때는 요금이 부과되는 3G나 4G 대신에 와이파이를 이용해 인터넷을 무료로 사용한다.

표준요금제를 이용하는 가입자의 상당 수는 중저가 스마트폰 이용자다. 2년 정도 요금제를 유지해야 기기값을 할인받을 수 있는 고가 스마트폰과 달리, 중저가 스마트폰은 3개월 정도 약정 기간만 거치면 기기값이 청구되지 않아 요금제를 변경하는데 자유롭기 때문이다.

통신업체 관계자는 "대도시의 경우 대부분 지역에서 와이파이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보니 표준요금제로 알뜰하게 스마트폰을 이용하려는 가입자들이 많다"며 "하지만 고가의 스마트폰을 이용하거나 데이터 접속이 잦은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표준요금제를 이용하다가 오히려 데이터 요금 폭탄을 맞을 수도 있다. 때문에 반드시 본인의 사용 패턴을 고려한 후 요금제를 변경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말했다.

김봄이기자 bom@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