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의 도동서원은 1605년(선조 38)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굉필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됐다. 1607년 '道東'(도동)이라고 사액되어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1678년(숙종 4)에 한강 정구를 추가 배향했다.
도동서원은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 시 훼철되지 않고 존속한 47개 서원 중의 하나이며 선현 배향과 학문수양의 한 축을 담당했다. 경내 건물로는 사당'중정당'거인재'거의재'수월루'환주문'내삼문'장판각 등이 있으며 1964년에 전면적인 보수를 받았다.
도동서원강당사당부장원(道東書院講堂祠堂附墻垣)은 보물 제350호로 지정되어 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단층 맞배지붕으로 된 사당에는 김굉필을 주벽(主壁)으로 해서 정구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고 좌우에는 창건 당시에 그린 벽화 2점이 있다.
정면 5칸, 측면 2칸으로 된 강당인 중정당은 원내의 여러 행사 및 학문의 강론 장소로 사용되었으며, 장원(墻垣)이 딸려 있다. 거인재와 거의재는 각각 동재와 서재로서 유생들이 기거하던 곳이다.
또 도동서원과 인접한 달성군 구지면 내리의 '이노정'(二老亭)은 김굉필과 정여창이 무오사화를 당해 시골로 내려와 지내면서 풍류를 즐기며 학문을 연구하던 곳이다. '이노정'은 김굉필과 정여창을 두 늙은이라 칭하여 붙인 이름이다. 고종 22년(1885)에 영남 유림들이 두 분을 추모하기 위해 고쳐 지었고, 1904년에도 고쳤다. 건물 규모는 앞면 4칸'옆면 2칸이며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달성'김성우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