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 총선의 최대 이슈로 떠오른 '민간인 불법 사찰 파문'이 전'현직 정권의 난타전 양상으로 접어들었다.
지난달 29일 'KBS 새노조'가 '이명박 정부의 2천619건 무차별 사찰을 벌였다'는 주장이 나온 바로 다음 날 청와대가 직접 나서 '2천619건 가운데 80%는 노무현 정부가 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에 대해 문재인 전 노무현 대통령 비서실장은 '노 정부 때는 적법한 공직감찰만 했다'고 해명하자 '당시 사찰을 당했던 일부 정치인의 자료를 공개하는 등 청와대가 재반격에 나섰다.
청와대 최금락 청와대 홍보수석은 1일 춘추관에서 "참여정부 시절 총리실 조사심의관실이 다수의 민간인과 여야 국회의원 등을 사찰한 사실이 드러났다"며 일부 문건을 공개했다. 전날 문 전 실장이 '참여정부 때 총리실에 조사심의관실이 있었지만 당시엔 민간인과 정치인에 대한 사찰은 상상도 못했다'고 한 데 대한 반박이다.
임종룡 국무총리실장도 브리핑을 통해 "80% 이상은 참여정부에서 이뤄진 문건으로, 작성 경위나 책임 소재 등이 명확히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정치적으로 이용되는 것은 사실 왜곡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문 전 실장은 "그야말로 막가자는 것이냐"며 "잘 됐다. 공개한 김에 불법 사찰 전체 문건을 한 장도 남김없이 다 공개하라. 어떻게 뒷감당할지 보겠다"고 경고했다. 그는 노 정부 시절 비서실장뿐 아니라 민정수석을 지내 이 문제를 잘 아는 입장이다. 문 전 실장은 이어 "사찰을 두고 노 정권 운운하는 것은 전형적인 물타기 수법으로 후안무치한 태도이자 비열한 작태"라고 맹비난했다.
청와대와 문 전 실장의 진흙탕 싸움이 진행되는 가운데 여야의 공방도 치열하게 진행 중이다.
새누리당 이상일 선대위 대변인은 2일 "민주통합당이 특별수사본부 설치를 주장하는데 이것은 검찰보고 계속 수사하라는 것이다. 민주당은 검찰을 그대로 믿겠다는 것이냐"면서 "우리는 2년 전의 관련 수사가 미흡했고, 검찰에 신뢰가 없다고 보기 때문에 특검을 주장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민주당은 청와대가 보이는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정세균 전 민주당 대표를 비롯한 수도권 총선 출마자 4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청와대 하명 불법 국민사찰 규탄 집중유세'를 열어 여권을 비난했다.
한편 박근혜 새누리당 비대위원장은 "저에 대해서도 지난 정권과 이 정권 할 것 없이 모두 사찰했다는 언론보도가 여러 번 있었다"면서 특검을 제안한 반면, 한명숙 민주당 대표는 "특검 대신 검찰 내 특수본부를 설치하자"고 반대하는 등 향후 수사방법에 있어서도 양당이 첨예하게 맞붙어 있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