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청 신도시 공동구 설치 공칠 판

전기 통신 가스 난방 등 묶어 관리…"초기 고비용 투자 부담" 경북가

경북도청 이전 신도시의 지하매설물을 하나로 묶어 관리하는 '공동구'(共同溝) 설치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경상북도와 경북개발공사는 안동시와 예천군 일대에 조성 중인 도청 이전 신도시에 전기'통신'가스'난방'수도'인터넷 등 각종 지하매설물을 수용해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공동구'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도와 개발공사는 이를 위해 320억여원의 예산을 들여 도청 이전 신도시 내에 동서를 가로지르는 3.3㎞ 길이의 지하벙커를 만들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하지만, 관련기관들이 비용 등 문제로 공동구 설치사업 참여를 꺼리고 있어 사업추진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한국전력공사, 경북가스공사, KT, 한국남부발전(난방) 등 관련 기관들은 초기 고비용 투자 부담을 이유로 공동구 설치사업 참여에 미적대고 있다. 특히 경북가스공사는 공동구 사업의 경우 방폭시설에 따른 설치 단가가 개별 설치 때보다 2~3배 정도 높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게다가 2010년 5월 개발예정지로 지정'고시된 경북도청 이전 신도시는 국토해양부가 2010년 6월 30일 지정'고시한 '200만㎡ 이상의 개발사업은 공동구 설치를 의무화'한 대상에서 제외돼 있다. 이 때문에 사업 시행자가 사업자를 지하 공동구에 강제로 참여시킬 수 없는 상황이다.

도시계획 전문가들은 "공동구 설치사업이 초기 투자비용 부담은 있지만 지하매설물의 안정적인 관리와 안전성, 체계적인 도시설계 등을 위해 신도시 조성에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인천 송도국제도시의 경우 2006년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민간시설공급자 간 비용 분담 협의를 통해 국제도시 1, 3공구 국제업무단지 내 공동구를 설치했다. 세종시도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지난해 세종시 남쪽 연결도로 지하에 전기'상수도'중수도'슬러지 수송관 등 각종 관을 한꺼번에 묻는 공동구를 설치해 기반시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경북도청 이전 신도시의 공동구 설치는 반드시 계획대로 추진돼야 한다"며 "관계기관들과 충분한 협의를 거쳐 공동구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안동'엄재진기자 2000jin@msnet.co.kr 권오석기자 stone5@msnet.co.kr

※공동구(共同溝)란?

전기'가스'수도'통신시설 등 지하 매설물을 공동으로 수용하는 시설이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지하 시설을 기관별로 별도로 매설해 관리해오는 바람에 보수 등에 따른 반복 굴착으로 교통 정체, 도시미관 훼손, 안전사고 등이 빈번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