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스트 4·11] <상> 총선이 남긴 득실·숙제

'1당 사랑' 변함없는 TK, 지역 현안 야당이 도울까

새누리당 완승으로 4'11 총선이 막을 내렸다. 대구경북에서도 새누리당은 '예상대로' 전 지역을 석권했다. 이곳이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과 새누리당의 변함없는 아성임을 재확인했다. 야권의 의미 있는 도전도 허사였다. 총선 결과가 대구경북에 주는 정치적 의미와 전망, '포스트 박근혜' 카드 찾기, 그리고 원점에서 새 출발하려는 야당까지 4'11 총선이 남겨준 정치적 과제 등을 3회에 걸쳐 점검한다.

4'11 총선에서 대구경북민은 다시 한 번 보수 정당에 대한 애정을 보여줬다. 신한국당→한나라당→새누리당으로 이어지는 보수 정당을 향한 표 쏠림 현상은 이번에도 다르게 나타나지 않았다.

◆1당 독식과 표 쏠림 심화=이번 총선이 예년과 다른 점은 같은 해에 치러지는 대통령 선거의 전초전 성격을 띠었다는 것이다.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에 대한 지지와 열정은 더 강해졌다. 이번 선거 정당 득표율의 경우 새누리당 지지율은 대구 67%, 경북 70%로 지난 17대보다 각각 5%포인트, 11%포인트 높았다. 18대를 보더라도 한나라당(새누리당 전신)의 정당득표율은 대구의 경우 47%, 54%로 다소 주춤했으나 이는 표면상 수치였다. 당시 한나라당 공천에서 탈락한 친박(친박근혜) 인사들이 모여 만든 친박연합 득표율까지 합치면 평균 30%씩 상승하기 때문이다. 한나라당 지지층에 박근혜 전 대표의 지지층까지 더하면 지지율은 80% 안팎이라는 계산이다.

◆정치적 다양성 실종=보수정당에 대한 지역민들의 편향된 지지로 대구경북은 이번에도 정치적 다양성을 확보하는 데 실패했다. 경기 군포의 3선 국회의원 출신 김부겸 후보가 민주통합당 간판을 달고 지역 신정치 1번지를 노크했으나 끝내 문을 열지 못했다. '일당독재 구도를 깨자'며 나선 대구 동갑의 임대윤, 중남구의 이재용 등 기초단체장 출신의 진보성향 후보들도 고배를 마셨다. 새누리당 공천에 반발, 연대를 구축하며 무소속으로 싸운 후보들에 대한 점수도 후하지 않았다.

일당독주 체제는 의회 정치에 기반을 두는 중앙정치를 약화시킬 수 있다.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해 여야가 협력할 일이 발생하지만 진보정당에서 지역 편을 들어줄 인사가 없기 때문이다.

◆정치력 응집으로 문제 해결=정치적 다양성 상실에 따른 피해는 지역 정치권의 단결력으로 막아내는 길이 현재로선 유일해 보인다. 27명의 대구경북 국회의원이 한목소리를 낼 때 지역 현안에 대한 훼방꾼의 횡포에 맞설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기 위해선 구심점 찾기가 시급하다. 17대 강재섭, 18대 이상득 의원 등으로 이어지는 지역 정치의 좌장 자리를 19대에도 누구든 맡아야 한다는 것이다. 선수로 보면 4선의 이한구'이병석 의원이 지역 내 최다선이다. 이들에게 눈길이 쏠리는 이유다.

지역 정치적 구심점 확보는 그동안 대구경북 정치권이 보여준 모래알식 행태 때문에 더 시급하다. 18대 국회 내내 친이'친박으로 나눠 계파 이익을 놓고 으르렁댔다. 한목소리를 낼 기회가 없지 않았으나 좌장 역할을 해야 할 이상득 의원이 국내 정치 '노터치', 자원외교 전념을 선언하는 바람에 성과를 내지 못했다.

◆선거 후유증 해소=이번 총선은 보수 정당 후보들의 독주 속에 끝난 '재미없는' 선거였다. 하지만 어느 때보다도 흑색선전과 마타도어는 난무했다. 아무리 흔들어도 흔들리지 않는 벽을 넘기 위해 비 새누리당 후보들은 보다 자극적인 선거전을 펼쳐야 했다. 수많은 고소'고발전과 '카더라'식 의혹 제기로 적지 않은 후보들이 쉽게 치료되지 않을 상처를 입었다. 하지만 선거는 끝이 났고, 국회의원 선거는 다시 4년 후다. 계속 환부를 찌르면서 소모적 전쟁을 이어갈지, 지역 현안에 머리를 맞대고 지지층을 늘려가는 생산적 정치로 돌아설지, 당선자와 낙선자 모두 고민해야 할 문제이다. 당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