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지럼증은 주위 물체가 가만히 정지해 있는데도 여러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고, 똑바로 서 있으려고 해도 자꾸 넘어지려는 상태를 말한다. 현기증 또는 현훈이라도 불린다. 원인은 대부분 귀 질환과 뇌 질환이며, 심혈관 및 안과 질환도 연관이 있다. 어지럼증은 크게 회전성과 비회전성으로 나뉜다. 이는 어지럼증의 원인을 찾는데 매우 중요하다.
◆다양한 원인으로 생기는 어지럼증
회전성 환자는 흔히 '눈이 빙빙 돈다', '천장과 주위가 함께 돌아간다'고 호소한다. 귀나 뇌에 갑자기 심한 이상이 있을 때 발생하며, 귀 질환이 원인인 경우가 더 많다. 비회전성 환자는 휘청거리거나 공중에 붕 떠있는 느낌, 물체의 아물거림, 머리가 아프면서 어지럽다는 증상을 호소한다. 때로는 정신이 몽롱해지면서 실신한다. 뇌 질환에 의한 경우가 더 많다.
귀 질환 어지럼증은 귀 울림, 난청, 귀에 무엇이 차 있거나 막힌 느낌 등이 함께 오는 경우가 많고, 반면 뇌 질환 어지럼증은 두통, 손발 및 얼굴 부위 저림, 말이 어둔해짐, 의식장애 등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귀 질환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크게 4가지가 있다. 먼저 '양성발작성 두위현훈'이다. 귀 안쪽 세반고리관에 아주 작은 돌멩이(이석)가 머리를 움직일 때마다 움직여서 1분 이내의 짧은 어지럼증이 일어나는 병이다.
귀 안쪽 미로에 림프액이 많이 차서 난청이나 귀 울림과 함께 몇 시간씩 어지럼증을 일으키는 '메니에르병', 난청은 없지만 며칠 또는 몇 주 전 감기를 앓은 뒤 아침에 일어났을 때 갑자기 어지럼증이 며칠 이상 계속되는 '전정신경염'도 원인이다. '어지럼증을 동반한 돌발성 난청'도 있다. 한쪽이나 양쪽 청력이 떨어지면서 귀 울림과 어지럼증이 생기는 병이다.
이 밖에 ▷중이염을 오래 앓아 귀 안쪽에 염증이 퍼져 내이염이나 외림프구에 구멍이 뚫린 경우 ▷교통사고로 머리에 손상을 받아 미로진탕 또는 측두골 골절이 생겼을 경우 ▷뇌에 청신경 종양이 있는 경우 등이 있다.
◆영남대병원, 어지럼증 클리닉 열어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먼저 어지럼증 특성과 과거에 사고를 겪은 적이 있는지, 약물을 복용한 적이 있는지 등을 철저하게 파악한 뒤 귀 상태를 진찰한다. 아울러 난청이나 귀 울림 증상을 확인하기 위한 청력검사와 전정기능 검사(어지럼증 검사), 영상의학 검사(X-선 촬영, CT, MRI) 등을 한다.
전정기능 검사에는 머리와 몸을 바르게 세울 수 있는지 알아보는 '직립반사 검사'와 몸이 한쪽으로 치우치는지 알아보는 '편의 검사', 어지럼증이 있을 때 생기는 눈동자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안진 검사'와 '유발안진 검사', 환자의 자세 이상을 전체적으로 검사하는 '동적자세 검사' 등이 있다.
영남대병원은 최근 어지럼증 클리닉을 열고 최첨단 장비인 '전산화 동적자세검사기'를 도입했다. 이 장비는 움직일 수 있는 시야장치와 움직이는 발판으로 구성돼 있다. 신체균형 유지를 위해 몸의 무게중심이 움직일 때, 무게중심과 발 중심을 연결하는 선의 동요각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발가락 올림 및 발가락 내림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돼 있다.
영남대병원 이비인후과 배창훈 교수는 "최첨단 동적자세 검사는 평형질환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쉽고, 다른 검사에 비해 자극의 강도가 약해 환자가 편안히 검사받을 수 있으며, 검사 시간도 짧다"고 말했다.
배 교수는 또 "흔히 어지럼증은 진단까지 많은 검사를 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리며, 장기간 치료를 받아야 효과를 볼 수 있고, 자주 자발해서 완전히 낫지 않는 병으로 인식하고 있다"며 "하지만 정확한 진단 후 적절한 치료와 재활이 꾸준하게 이뤄진다면 어지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도움말=영남대병원 이비인후과 배창훈 교수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