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완전국민경선제 도입, 완전 대세?

친박근혜 진영 빼고 여야 한목소리 요구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 반대 진영에서 한목소리로 완전국민경선제도(오픈 프라이머리) 도입을 요구하고 있다. 새누리당 안팎의 구별이 따로 없다. 유력 대선주자에 대한 견제카드라는 폄하와 한국정치의 도약을 위해 꼭 필요한 제도라는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완전국민경선은 특정 정당이 추천할 공직후보자를 당원들이 아닌 일반 국민들이 제한 없이 참여해서 선택하는 제도다. 대통령 후보 결정과정에서 대의원'당원과 참여를 원하는 모든 일반 국민이 똑같이 한 표를 행사해 최종후보를 낙점하게 된다.

정치전문가들은 완전국민경선제도가 이념정당을 대중정당으로 변모시키고 참여 민주주의를 확대시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새누리당에선 박 위원장에 맞서는 주자들이 모두 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을 요구하고 있다.

김문수 경기도지사와 정몽준 전 한나라당 대표최고위원은 각각 이달 22일과 29일 차기 대선출마를 선언하면서 '완전국민경선제'로 당의 차기 대선주자를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는 6월부터 본격적인 대선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이재오 의원도 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을 원하고 있다. 당 밖에선 대선출마를 예고한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과 대선후보로 거명되고 있는 정운찬 전 국무총리도 완전국민경선제 도입 주장에 힘을 보태고 있다. 패색이 짙던 4'11 총선을 완승으로 이끌며 사실상 새누리당의 차기주자 자리를 굳힌 박 위원장에 대한 견제로 풀이된다.

새누리당 핵심당직자는 "박근혜 위원장 진영에서는 당의 정체성과 원칙을 명분으로 현행 '규칙' 유지를 주장하고 있는 반면, '도전자'들은 하나마나 한 승부방식에 집착하는 모습은 구태라고 박 위원장 진영을 압박하고 있다"며 "국민적 여론을 감안한 박 위원장 선택이 이 문제를 푸는 핵심열쇠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야당에서는 한 발 더 나아가 완전국민경선제 도입과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경선참여 제도화를 묶어서 요구하고 있다. 문성근 민주통합당 대표 권한대행은 29일 "박근혜 위원장께 완전국민경선방식에 대한 논의를 위해서 원포인트 여야대표 회담을 제의한다"며 "역선택 방지를 위해 여야가 동시에 전당대회를 개최하고 모바일 투표의 법을 개정하는 방안도 논의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제안했다. '바람' 몰이를 위한 '흥행카드'를 이번 기회에 확보하겠다는 구상이다. 더불어 '대세'(大勢)로 평가 받아 온 박 위원장 흔들기로도 역할을 할 수 있다.

민주통합당 관계자는 "특정 후보 압박용이라는 해석도 맞는 말이지만 젊은이들의 정치참여 확대와 정치개혁 차원에서 미룰 없는 사안"이라고 주장했다.

물론 새누리당은 문 대행의 대표성을 이류로 부적절하다는 반응을 보였으나 제안 내용 자체에 대해서는 언제까지나 단칼에 거부할 수도 없는 입장이어서 박 위원장의 대응이 주목된다.

유광준기자 june@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