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모(37'말기 암환자) 선생은 아픈 중에서도 병문안 오는 친구를 일일이 주치의한테 인사시킨다. 그날도 수줍어하는 송경찬 선생을 억지로 소개시켰다. 키가 185㎝ 정도 될까? 그는 훤칠한 키에 호리호리한 몸매의 선한 인상이었다. 병동을 들어오는 모습이나 악수를 청하는 모습이 부드러운 무용 동작을 하는 것 같다. 얼마 전까지도 함께 무대를 활기차게 종횡무진했던 윤 선생이 이제는 걷지 못할 정도로 병이 악화되었다. 그래도 슬픈 감정을 잘 누르면서 그저 연신 잘 부탁한다는 말만 했다.
연골암 환자였던 윤 선생은 회진갈 때마다 "과장님한테 공연, 공연 보여줘야 하는데…"라며 줄곧 얘기했다. 병실 머리맡에 놓인 그의 공책에는 공연기획안도 여러 개 그려져 있었다. 그의 부인은 "건강했을 때도 공연밖에 몰랐어요. 퇴근하면 아이들과 잘 놀아주기는 했지만, 그는 늘 공연에 무슨 목숨이라도 건 사람 같았어요"라고 했다. 무용에 관심이 조금이라도 있었더라면 윤 선생이 얼마나 유명한 사람이었는지 한눈에 알았을 텐데. 그는 요코하마 춤 페스티벌에서 1위를 한 적도 있었다.
송 선생을 보는 순간, 갑자기 공연 생각이 났다. 처음 보는 그에게 염치불구하고 대구의료원에서 춤 공연을 해 줄 수 있는지 물어보았다. 윤 선생뿐 아니라 그의 가족들에게도 '생의 마지막 공연'을 보여주고 싶었다.
우여곡절 끝에 드디어 2월 23일 대구의료원 대강당에서 현대무용 공연이 펼쳐졌다. 시립무용단 박현옥 감독을 비롯해 단원 29명이 한 가족을 위해 공연을 했다. 윤 선생이 초연했던 '모순과 거짓말'이라는 작품. 외계인이 지구로 왔는데 인간 세상을 보니 너무 많은 모순들이 가득했고, 그 외계인들도 나중에는 서로 배신하게 된다는 등 이러쿵저러쿵 재미난 작품이다.
초연 때 외계인 대장 역할을 윤 선생이 했었고, 당시 관객들로부터 엄청난 호응을 얻었던 작품이라고 한다. 머리로 전이된 암 때문에 말이 어둔한 윤 선생을 대신해 부인이 "단원 여러분, 고맙습니다"로 시작하는 마지막 인사를 할 때 참가자 모두 울었다.
"사람들이 마지막에는 무슨 마음으로 살아갈까?" 그렇게 무용밖에 몰랐던 그는 무슨 미련이 남아 한쪽 눈밖에 보이지 않을 만큼 병이 악화된 상태에서 그토록 공연을 보고 싶어 했을까? 윤 선생은 '공연과 가족'이 바로 그의 인생이었다. 그리고 마지막까지 그것을 즐기고 싶었다. 살아온 방식대로 마지막까지 살아간다는 것이 죽음의 병동에서 깨달은 사실이다.
김여환 대구의료원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장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