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340년 전 쓴 최초의 한글 조리서…'음식디미방' 발표식품·보관법까지 소개

장계향
장계향
'음식디미방' 표지

'음식디미방'(飮食知味方)이란 '음식의 맛을 아는 방법'이라는 뜻이다. 340여 년 전에 쓰인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조리서이다. 경북 영양에 살던 사대부가의 장계향(1598~1680) 선생이 후손들을 위해 지은 것으로 당시 조리법은 물론 발효식품, 식품보관법까지 소개하고 있다. 앞뒤 표지 두 장을 포함해 총 30장의 필사본으로 돼 있다. 340여 년이 지난 지금도 이 책을 따라서 요리를 할 수 있을 정도로 실용적이다. 책은 옛날과 오늘의 식문화를 비교 연구하는 데 소중한 자료이며, 거의 사라져 버린 옛 조리법을 발굴할 수 있는 지침서로서도 그 가치가 대단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장계향 선생이 재조명되고 있는데 현모양처이자 시인, 화가, 서예가, 교육자이며 사상가와 과학자, 사회사업가로 많은 활동을 한 면모가 새롭게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위대한 어머니' '여성 중 군자'라는 칭호를 듣고 있다. 선조 31년 경북 안동 금계리에서 태어났으며 퇴계 이황의 학통을 이은 경당 장흥효의 무남독녀였다. 19세 때 아버지가 아끼던 제자 석계 이시명의 계실이 됐으나, 셋째아들이 이조판서를 지낸 이후 정부인 품계가 내려졌다. 숙종 8년 83세를 일기로 경북 영양 석보면에서 타계했다. 소설가 이문열의 소설 '선택'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