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항 화력발전소 논란 재점화…환경단체 "최악의 공해시설"

지난해 포항시의회의 반대로 무산됐던 중국계 기업의 포항 복합화력발전소 건설에 대해 장기면 주민들과 현대건설이 최근 재추진에 나선 반면 환경단체 등이 적극적인 반대에 나서 귀추가 주목된다.

장기면 주민들이 중심이 된 '포항장기그린복합화력발전소 유치위원회'(이하 유치위)는 9일 포항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대건설이 화력발전소 건설의 주체로 나서겠다고 밝힌 만큼 시의회가 우려했던 자본의 불확실성은 해소됐다"며 유치 재추진 방침을 밝혔다.

유치위는 "장기면은 포항 도심에서 멀리 떨어져 있고 변전소와의 거리가 비교적 가까워 입지적으로 가장 유리하다"며 "낙후된 장기 발전을 위해서라도 시의회가 발전소 유치에 동의해 줄 것"을 호소했다. 

유치위에 따르면 현대건설이 중국계 다국적 전력회사 MPC코리아홀딩스가 추진하다 무산됐던 복합화력발전소 건설을 맡겠다는 뜻을 밝혔다는 것.

유치위는 "현대건설 관계자들이 3월 말 포항시가 유치 예정지역으로 선정했던 장기면 현장답사를 마쳤으며, 오성만 유치위원장을 비롯한 관계자들과 만나 주민의견을 청취한 데 이어 지난주 발전소 건설에 대한 회사의 입장을 유치위원들에게 전달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포항환경운동연합 등 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포항화력발전소 재추진 논의에 대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포항환경운동연합은 10일 논평을 내고 "지난해 포항시가 일방적으로 추진했던 화력발전소 건설계획이 지역여론과 시의회의 반대로 무산됐음에도 재추진되는 것은 크게 우려할 일"이라고 밝혔다. 또 "화력발전소는 최악의 공해시설로 주변 지역 전체에 영향을 미치고 강원 고성과 전남 해남에서는 환경문제를 걱정한 주민들의 반대로 유치가 무산됐다"며 "기업유치라는 명분만으로 발전소를 건설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포항환경운동연합 정침귀 사무국장은 "대규모 공해시설로 인한 금전적 혜택은 소수가 일시적으로 받는 것이지만 그 피해는 자손대대로 이어질 것임이 분명하다"며 "포항시와 시의회는 불과 6개월 전 백지화된 화력발전소 문제가 재추진되는 일관성 없는 시정의 선례를 만들지 않기를 바란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