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력의 전시장 엑스포/오룡 지음/다우 펴냄
수세식 화장실, 재봉틀, 고무타이어, 전화, 엘리베이터, 에펠탑, 아이맥스, 파텍필립 손목시계, 우주선, 스트립쇼, 디지털 갤러리…. 전혀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이들의 공통점은 바로 '엑스포를 통해 세상에 등장했다'는 사실이다.
12일 '2012 여수엑스포'가 개막한다. 1983년 대전엑스포에 이어 약 30년 만에 한국에서 열리는 엑스포다. 때마침 출간된 '상상력의 전시장, 엑스포'는 160년간 인류 진보의 문명사가 담긴 엑스포를 깊이 있게 들여다볼 수 있도록 한 안내서다. 엑스포의 역사를 통해 인간의 과학적이고 혁신적인 활동상과 그것이 몰고 온 세상의 변화를 속속들이 들여다볼 수 있다.
저자는 "엑스포는 인터넷은 물론이고 교통수단조차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던 한 세기 전부터 지구촌을 연결하는 산업과 문화의 네트워크로 기능해 왔다"면서 "앞으로 엑스포는 미래 인류의 공통과제를 함께 고민하고 창의력을 실험하는 공간으로 더욱 진화해갈 것"이라고 예견했다.
'인간의 꿈을 현실로 만든 인류문명사 160년'이라는 부제답게 프롤로그를 통해 160년간 이어진 엑스포의 기본 상식을 알려준다. 이어 엑스포의 효시로 공인된 1851년 영국 런던박람회부터 2010년 중국 상하이엑스포까지 국제박람회기구(BIE)가 공인한 총 67개 엑스포를 '기계 문명과 산업화의 전시장'(1851~1900), '과학'상업'문화 교류의 현장'(1904~1939), '미래 세계를 내다보고 창조하다'(1947~1988), '인류 공통 과제와 국가 브랜드화'(1992~2010) 등 4부로 나눠 각 엑스포의 내용과 그에 따른 인류사적 변화를 상세히 알려준다.
마지막 제5부에서는 1883년 보빙사로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미국을 방문한 민영익 일행이 마침 열리고 있던 보스턴 박람회를 처음 찾았던 조선 말부터 치열한 득표전 끝에 여수 엑스포 유치에 성공하던 2007년까지 한국의 엑스포 참가 발자취를 되돌아본다. 344쪽, 1만9천800원.
한윤조기자 cgdrea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