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유사 경유 사용, 승객 목숨 위협한다

성주경찰서와 안동경찰서가 유사 경유를 사용한 혐의로 버스 업체를 수사하고 있다. 주민 신고로 한국석유관리원 대구경북본부가 두 버스 업체의 유사 경유 사용을 적발한 데 따른 조치다. 유사 경유를 쓴 버스업체는 억대 부당 이익을 챙긴 의혹을 사고 있다. 경찰은 두 곳 외에 유사 경유 사용 의혹이 있는 업체와 이번 적발 과정을 둘러싼 의혹도 제기된 만큼 이를 밝혀야 한다.

한국석유관리원 대구경북본부는 주민 신고로 네 버스 업체 연료를 조사했다. 한 업체의 2곳 저장 탱크와 2곳의 주유기에서는 경유와 등유가 6대 4, 4대 6으로 혼합된 것을 적발했다. 다른 한 업체 저장 탱크에선 4대 6의 경유'등유 혼합을 밝혀냈다. 다른 2개 업체에선 유사 경유를 발견하지 못했다. 적발된 업체는 "혼합 사실을 몰랐다"고 부인했다. 이들 업체에 기름을 공급한 주유소 측은 "탱크로리 운전기사의 실수"라고 주장했다.

그런데 이번 적발 과정에 석연찮은 점이 있다. 먼저 1월 중순 주민 신고가 있고 2개월 뒤인 3월에 두 곳만 조사했다는 점이다. 또 유사 경유가 발견되지 않은 2곳은 무려 신고 3개월이 지난 4월에야 점검했다. 게다가 이들 4곳 모두에 기름을 준 주유소는 아예 조사조차 않았다. 한국석유관리원 대구경북본부 측은 현장 조사 인력 부족 때문이라 해명하고 있다. 이 부분에 대해 철저한 규명이 이뤄져야 하는 이유다.

두 번째로, 이들 4곳 버스업체에 기름을 대준 주유소 대표가 맡고 있는 자리다. 이 대표는 유사 경유가 적발된 두 업체의 사내 이사다. 그는 유사 경유가 발견되지 않은 두 곳 중 한 업체의 경리 담당이기도 하다. 자기 주유소 기름을 사용하는 4곳의 버스 업체 가운데 3곳 업체의 직함을 갖고 있다. 주유소와 버스 업체에 걸쳐 직함이 있는 만큼 그는 유사 경유 사용과 관련, 의심을 사기에 충분하다. 이에 대해서도 역시 경찰 조사가 필요한 사항이다.

불법 유사 연료 사용에 대해선 엄격한 법 적용이 필요하다. 승객의 목숨을 위협하기 때문이다. 유사 경유는 정상 경유보다 교통사고 발생 위험이 높다. 자동차 연료 계통에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정상 경유에 맞는 엔진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큰 것이다. 안전성이 떨어져 대형 인명 사고 발생 우려도 높다. 연비 저하와 매연, 유해 배기가스 배출에 의한 환경오염 피해는 더 말할 것 없다. 반사회적 범죄다. 철저한 조사와 엄격한 법 적용만이 답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