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슨 놈의 위기가 이렇게나 많은지…."
금융펀드가 또다시 유럽 쇼크에 빠졌다. 지난달까지만 해도 수익률이 회복됐다던 터였다. 4월 초까지만 해도 금융펀드는 고수익률에 함박웃음을 지었다. 4월 초 수익률을 따져보면 국내 금융펀드의 경우 연초 이후 수익률이 16.80%, 3개월과 6개월 수익률 각각 16.71%, 13.59%를 기록했다.
그런데 5월부터는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최근 그리스발 유럽 금융위기가 고조되고, 미국 JP모건 사태까지 터지면서 금융펀드 수익률은 다시 떨어지고 있다. 해외 금융펀드의 최근 1개월 평균수익률은 -6.62%로 해외 주식형펀드 평균(-6.50%)보다 부진했다. 도토리 키재기식이지만 둘 다 마이너스다. 최근 1주일 수익률도 5개 펀드 중 4개가 해외 주식형펀드 평균(-3.81%)을 밑도는 등 부진한 성과를 보였다. 이 중 JP모건에 투자한 한국투신운용의 '한국투자월스트리트투자은행 1(주식)(A)'가 -4.29%로 가장 부진했다. 이 펀드는 지난 2월 1일 기준 JP모건 주식 편입비중이 전체 6.7%를 기록 중이다. 국내 금융펀드의 경우 상대적으로 양호하다. 그렇지만 최근 1주일과 1개월 평균수익률은 각각 -2.42%, -4.59%다. 미국과 유럽위기 여파로 불안하기는 마찬가지인 셈이다.
물론 연초 이후 수익률은 양호하다. 17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현재 운용 중인 금융펀드는 연초 이후 평균수익률에서 국내 금융펀드 4.46%, 해외 금융펀드 7.41%로 나쁘지 않은 성적표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열흘 전으로 돌아가 보면 수익률은 훨씬 높았다.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이달 7일 국내 금융펀드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9.61%로 집계됐다. 최근 3개월과 6개월 수익률은 각각 -6.51%, 2.87%를 나타냈다. 해외 금융펀드도 연초 이후 12.23%의 수익률로 양호한 흐름을 보였었다.
이런 흐름과 관련해 펀드전문가들은 유럽발 금융위기가 재확산되는 조짐을 보이는 만큼 금융펀드에 대한 신규 투자나 비중 확대는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충고를 내놓는다. 다만 장기적으로 볼 경우 크게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조언도 덧붙인다. 미국과 이머징국가의 경기회복 등을 감안하면 수익률도 회복될 것이라는 게 근거다.
김태진기자 jin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