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영화, 사회복지 대안 제시하다…대구사회복지영화제

30일 개막

제3회 대구 사회복지영화제 '영화, 복지를 만나다'가 30일부터 6월 3일까지 계명문화대 6층에 위치한 대구영상미디어센터 스크린 '씨눈'에서 열린다.

대구 사회복지영화제는 2010년부터 우리복지시민연합, 공공운수노조'연맹 대경지역본부, 대구경북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등 10여 개의 시민'사회 단체들이 자발적으로 운영비를 내고 진행하는 영화제다.

여기서 '복지'란 보편적 복지의 개념으로, 영화제는 빈곤과 노동, 교육, 주거, 의료, 가족문제 등 다양한 이슈를 담고 있다. 이 영화제는 시민사회와 복지기관, 노동조합 등 사회공공성 관련 단체들이 한국사회 핵심 논쟁으로 등장한 '복지'에 대한 대안을 함께 모색하기 위해 열린다.

대구 사회복지영화제는 상업적인 영화관에서 만나 보기 힘든 영화 9편을 총 16회 무료 상영한다.

영화제 개막작 '버스를 타라'(2012, 김정근 감독 )는 지난해 한진중공업 담장을 넘어서며 새로운 운동의 물꼬를 튼 희망버스를 이야기한다. 폐막작은 '인사이드 잡(2011, 찰스 퍼거슨 감독)'으로, 세계 경제를 파탄으로 내몬 주범들이 여전히 돈과 권력을 손에 쥐고 있는 현실을 다루며 금융범죄자들의 위선과 실상을 파헤치는 다큐멘터리 영화가 선정됐다.

이밖에도 주목할 만한 영화들이 상영된다.

한국 공공건축의 대가 정기용의 삶을 따라가는 '말하는 건축가'(2012년, 정재은 감독)는 건축이 단순한 토목공사가 아니라 공동체 복원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영화 '다슬이'(2011, 박철순 감독)는 9세 소녀 다슬이를 통해 일상에서 장애인과 더불어 사는 지혜를 배워본다. '클래스'(2008, 로랑 캉테 감독)는 영화 속 개개인과 학교 공간 묘사를 통해 프랑스 교육과 이민, 복지 제도 등 갖가지 사회문제를 끄집어낸다. 2008년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작이다.

그밖에도 '왓빠이야기''자전거 탄 소년''마당을 나온 암탉''동경핵발전소' 등의 수작이 상영된다.

이밖에도 다양한 부대행사가 열린다. '감독과의 대화'에는 '버스를 타라'의 김정근 감독, '다슬이'의 박철순 감독, '말하는 건축가'의 정재은 감독이 관객과 이야기를 나눈다. '씨네토크'는 이정우 경북대 교수, 김명희 대안가정운동본부 사무국장, 박신영 도원중학교 교사가 각각 진행한다.

우리복지시민연합 은재식 사무처장은 "'사회복지'를 주제로 매년 열리는 전국 최초의 영화제인데다 시민사회단체와 노동조합, 사회복지기관이 함께 준비하는 유일한 영화제인 만큼 많은 시민들이 관람하고 즐겼으면 한다"고 말했다. 무료. 053)628-2590.

최세정기자 beacon@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