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통시장 살리자고 하지만… 절반이 市場 기능 상실

시장경제 활성화 등급 평가 대구 전국 7대 도시중 꼴찌

영세 소상인의 삶의 터전인 전통시장이 갈수록 기능을 잃어가고 있다.

특히 대구경북 지역 전통시장의 침체 수준이 전국에서 가장 심각하고 시장 기능을 잃어가고 있는 곳도 전체의 절반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대형마트 강제 휴무제 등 각종 지원 제도가 시행에 들어갔지만 편리하고 손쉬운 대형마트 쇼핑에 길들여진 소비자들의 발길을 되돌리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유통 전문가들은 "소비자들이 조금 불편하더라도 지역 경제를 위해 전통시장 이용에 나서는 것도 중요하지만 상인들의 품질과 서비스 개선 노력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구경북 전통시장의 현주소

중소기업청 산하 시장경영진흥원의 '시장 경제 활성화 등급 평가'에 따르면 2010년 기준 대구의 103개 전통시장은 '낙제점' 수준을 면치 못했다.

시장경영진흥원이 전국 1천517개 시장을 대상으로 상인조직(6개 항목), 상권매력도(5개 항목), 시설(13개 항목), 점포경영(9개 항목), 공동마케팅(5개 항목), 시장운영(6개 항목) 등 총 6개 분야, 44개 항목을 분석한 결과 대구 시장 활성화 점수는 43.8점에 그쳐 전국 7대 도시 중 꼴찌를 기록했다.(표 참조)

등급별로는 대구의 전통시장 중 65점 이상 A등급이 단 1곳(서남신시장)에 불과했다. 이어 B등급 12곳(11.7%), C등급 35곳(34%), D등급 32곳(31.3%), 최하등급 E등급 23곳(22.3%)으로 나타났다. 103개 시장 중 사실상 시장 기능을 상실한 침체 수준의 D, E 등급이 전체의 53.6%(55곳)나 된다.

경북의 전통시장은 사정이 더 심각하다. 시장 활성화 점수가 42.2점에 불과해 전국 16개 시'도 중 전남(41.8점) 다음으로 낮았다. 전체 178곳 중 침체 수준의 D등급(84곳), E등급(39곳) 시장이 69.1%(123곳)에 이른다.

경북대 장흥섭 경영학부 교수는 "다 살리려면 다 죽는다는 말이 있다. 그래서 전통시장도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며 "시장 활성화 의지가 강하고, 발전 가능성이 높은 시장만을 집중 육성시키는 소위 '선택과 집중의 원리' 적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

시장경영진흥원 평가에서 대구 103개 전통시장은 상권매력도(49.2점), 시설(48.0점)에서는 상대적으로 후한 점수를 받은 반면 상인 조직(43.5점) 및 공동마케팅(27.4점)에서 최하위 점수를 받았다.

이달 3일 국회예산정책처가 발간한 전통시장육성사업평가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우리 정부는 전통시장 지원에 국민 세금 1조5천711억원을 투입했지만 전국 전통시장은 2003년 1천695개에서 2010년 1천517개로 178개가 사라졌고, 매출 역시 36조원에서 24조원으로 33.3% 감소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지원 방식에 문제가 있다고 진단했다. 전체 지원금액 1조5천711억원 중 86%(1조3천513억원)가 시설 현대화 사업에 투입된 반면 상인 교육이나 특성화 시장 육성 등 경영혁신 사업 지원은 14%(2천198억원)에 그쳤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전통시장 스스로가 품질 및 서비스 향상에 먼저 나서지 않으면 정부 지원이나 대형마트 강제 휴무제 도입 같은 행정적 조치만으로는 전통시장이 되살아나기 어렵다는 방증이라고 입을 모은다.

대구경북연구원 곽종무'임규채 연구위원은 24일 '대형 유통업체 진입에 따른 지역상권 대응 방안' 보고서에서 "대구 도소매사업체 역시 2000년 5만4천281곳에서 2009년 기준 4만8천169곳으로 급감했다. 지역 상권 지원에도 경쟁력 격차는 계속 벌어지고 있다"며 "개별 점포 상인의 창의력, 결집력 등이 궁극적인 경쟁력이라는 인식 확산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상준'김봄이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