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는 지난 3월 연세대 송도국제캠퍼스 내에 태양광 적용으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했고 저탄소 배출 등을 실현한 빌딩을 짓는다고 밝혔다. 친환경 건물답게 명칭도 '그린빌딩'이다. 포스코 측은 "60년간 그린빌딩이 운영되면 56만 그루의 나무를 심는 효과가 기대된다"며 빌딩의 의미를 부각시켰다. 포스코가 녹색 성장을 모토로 삼고 있다는 것은 새삼 화제될 일도 아니다. 그린포스코, 그린에너지, 그린녹색전략, 그린성장 등 포스코 주변에는 녹색과 친환경이란 수사(修辭)가 차고 넘친다.
그러나 '녹색윤리'는 어떤가. 이달 20일과 21일 포항제철소 4고로에서 발생한 오염 사고는 포스코의 '녹색윤리'의 단면을 보여줬다. 경상북도와 환경부에 24시간 오염상황을 알리는 자동측정기계가 부착되지 않은 시설물에서 발생한 오염은 포스코의 의지에 따라 덮일 수도 알려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포스코를 비롯한 철강공단 기업체들은 '지역경기의 기둥'이라는 이유로 환경오염에 대해 관대한 대우를 받았다. 시민들은 기업체들이 발표하는 오염방지 첨단시설과 오염도를 알리는 수치만 믿을 뿐, 별다른 의문을 제기하지 않았다.
그러는 사이 오염물은 포항 사람들의 폐부로 스며들고 있다. 오염감시기계가 설치돼 있지 않은 설비 등에서 나오는 검은 연기가 어떠한 제지도 받지 않은 채 말이다.
경북도는 거리상의 문제 때문에 매번 감시할 수 없다는 입장이고, 포항시는 해당 업무가 아니라는 이유로 오염 사고에 팔짱을 끼고 있다. 기업체 역시 일단 숨기고 본다. 걸리면 재수 없는 것이고, 안 걸리면 그냥 넘어가는 것을 '녹색성장'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환경오염을 최소화함으로써 자연친화적 인간사회의 성장을 도모하는 것'이라는 녹색성장의 진정한 의미를 포스코가 모를 리 없다. 포항환경운동연합 관계자의 말이 의미깊다. "포스코를 중심으로 한 철강업계가 포항을 부유한 도시로 빠르게 성장시킨 것은 틀림없다. 그렇다고 모든 포항 사람들이 포스코 돈으로 부자가 된 것은 아니다. 오염사고는 어떠한가. 모든 포항 사람들의 건강을 해치는 일이다."
포스코의 사회적 책임을 다시 한 번 생각해본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