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최고위 9명중 8명 친박…대선 得인가 失인가

새누리당, 광주 이정현·강원 김진선 지명직 인선

새누리당이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3일 이정현 전 의원과 김진선 전 강원도지사를 확정, 발표했다. 지명직 자리를 두고 지역'2030 또는 여성계 안배냐를 두고 갑론을박했지만 결국 지역 표심을 가장 염두에 둔 인선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결국 새누리당은 12월 대선도 철저한 '지역주의 선거'가 될 것으로 내다본 것이다. 사지(死地) 출마라는 평가를 받으면서 새누리당의 불모지인 광주 서구에 출마해 낙선한 이 전 의원은 '호남 몫'을, 총선에서 9석 모두를 새누리당에 몰아준 보은 차원에서 김 전 지사를 '강원 몫'으로 배려한 것이다.

김영우 대변인은 두 최고위원 인선 배경을 "이 전 의원은 광주에서 높은 득표율을 보여 당세를 확장하고 지역주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기여한 점을 크게 고려했고, 김 전 지사는 3선 강원도지사 출신으로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 개최에 대한 당의 확고한 의지를 담았다"고 설명했다.

새누리당 새 지도부 9명 중 친이계로 분류되는 심재철 최고위원을 빼고는 모두 친박계 인사들로 채워지면서 '친박 지도부'가 박근혜 전 대표의 대권 가도에 도움이 될 지, 새누리당의 경선 흥행을 가져올 지 셈법이 분주하다.

친박 지도부는 일단 빠른 판단과 추진 속도를 담보할 수 있다는 평가가 있다. 어느 정도 박 전 대표의 의중이 파악되면 밀어붙일 수 있고, 문제가 생기더라도 일사불란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 비박(非朴) 진영의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로의 룰 개정 요구가 친박계의 반대로 벽에 부딪힌 모습부터 계파 화합보다는 마찰이 일면서 '박근혜 사당화(私黨化)' 논란은 좀처럼 숙지지 않을 분위기다. 또 드러내놓고 이야기하고 있지는 않지만 18대 총선 공천에서 벌어진 '친박계 학살' 논란이 이번 박근혜 친정체제로의 개편으로 '보복의 인선' 이미지를 갖게 했다는 부정적인 시각도 있다. 친이계인 이병석 국회부의장 후보 선출로 무마되는 것 같지만 국회직과 당직 인선은 다르다는 평가다.

이런 기류를 의식해서인지 일부 최고위원들 사이에서는 지명직 최고위원에 새누리당의 지지세 확장에 꼭 필요한 청년층이나 여성계를 배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2030세대나 여성계를 대변하는 최고위원을 뽑아야만 이들의 생각이나 희망사항을 제대로 수렴할 수 있고 정책에 반영할 수 있을 것이란 논리였다. 대부분 지역의 표심은 예측가능하지만 특히 수도권에서는 지지세의 확장도 필요하고 예측 가능성도 높여야 해 청년층 대변자 논리가 대세로 기우는 듯했으나 지역 안배 논리에 밀렸다.

마땅한 인물을 찾기 어려웠다는 후문도 있지만 인물 찾기에 성의를 보이지 않았다는 비판도 있다. 성별, 연령별 균형점을 찾기보다 고착화된 지역별, 권열벽 균형에 신경 쓴 모습을 보이면서 새누리당 최고위원회 인선이 어떤 평가를 받을지 주목된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