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 장기면 포항복합화력발전소 건립을 놓고 시민단체 간 찬반논란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포항환경운동연합 등 12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포항화력발전소 건설반대 시민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11일 포항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포항시와 포항시의회는 이미 백지화된 포항화력발전소 건설 재검토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대책위는 "지난해 백지화된 화력발전소 건설의 사업주체가 중국기업(MPC)에서 국내기업(현대건설)으로 바뀌었다고 화력발전소의 환경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며 "불과 6개월 전에 백지화한 화력발전소 건설을 재추진하는 것은 일관성 없는 시정이다. 전체 포항시민은 청정 동해안의 자연환경을 포기해야 하는데, 일부 주민들을 대상으로 허황된 보상금으로 현혹하면서 주민 갈등을 일으키지 말라"고 촉구했다.
반면 포항지역발전협의회 등 일부 단체들은 "포항복합화력발전소 유치는 40년 전 포스코가 포항에 들어선 이후 단일사업으로 가장 큰 규모(투자액 약 8조원)로 현재 포스코에 편중된 포항경제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으며, 미래성장 산업으로서의 파급효과가 엄청나다"며 "사업 주체가 현대건설로 바뀌고 친환경 신기술의 운영시스템이 대폭 보강된데다 해당지역 주민 대다수의 찬성 등 주요사업 조건이 새롭게 변경된 만큼 조속히 처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시민단체 간 찬반 논쟁과 달리 포항시와 포항시의회는 서로 책임 떠넘기기 식으로 회피하고 있어 시민들의 눈총을 사고 있다.
포항시는 포항시의회가 화력발전소 건설을 반대해 무산된 만큼 의회가 찬성을 해야 재추진에 나서겠다는 입장인 반면 시의회는 포항시가 다시 한 번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힐 것을 요구하고 있다.
박승호 시장은 "의회가 동의하지 않고는 독자적으로 추진할 의사가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으며, 시의회는 "집행부가 재추진 의사를 밝히고 의회를 설득하는 것이 순서"라는 입장으로 맞서고 있다. 화력발전소 건설은 7월 25일까지 지식경제부에 유치의향서를 접수해야만 유치 신청이 가능하다.
포항'이상원기자 seagull@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