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선 룰 논의' 첫발 디뎠지만…

완전경선 여전히 이견 타협점 찾기까지 먼길

새누리당 지도부와 비박(非朴) 대선주자들이 15일 조찬 모임을 갖고 대선을 앞두고 여권 계파 갈등의 '씨앗'으로 등장한 경선 룰 논의에 첫발을 내디뎠다.

황우여 대표와 서병수 사무총장, 황영철 대표 비서실장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한 호텔에서 정몽준 전 대표와 이재오 의원, 김문수 경기도지사 등 비박 대선주자 3인의 대리인들과 첫 조찬회동을 했다. 비박주자 3인의 대리인으로는 안효대(정몽준 측) 의원과 권택기(이재오 측)'신지호(김문수 측) 전 의원이 참석했다.

그동안 링 밖에서 으르렁대던 양측은 막상 협상 테이블에 오르자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 탐색전을 펼쳤다. 하지만 갈등의 원인인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을 둘러싼 견해차는 여전했다. 황 대표는 협상 테이블에서 "멋지고 생산적이며 국민에게 도움이 되는 좋은 경선을 마치고 훌륭한 후보들이 대선을 치러서, 국가가 어렵고 힘들 때 국민들이 안심하고 맡길 수 있는 정당이라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러면서 "큰 대의(大義) 안에서 좋은 얘기를 많이 나누자"고 말했다.

이에 비박 주자 측 대리인들은 '정권 재창출'을 강조하며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할 것을 요구했다. 안 의원은 "대선을 잘 치러서 정권을 재창출하는 게 큰 바람"이라며, "저희들이 말씀드린 완전국민경선제를 잘 논의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권택기 전 의원도 "당이 좀 더 역동적, 민주적으로 움직였으면 좋겠다"고 뼈있는 말을 던졌다. 12월 대선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오픈프라이머리가 도입된 새로운 룰로 경선을 치러야 한다는 입장을 재차 확인한 것이다.

황 대표는 조찬 모임이 끝난 직후 기자들과 만나 "대선 후보 경선 룰 논의기구를 만들고 대선후보들 간 모임을 단계적으로 주선하겠다"며 "어떤 기구로 할지에 대해서는 좀 더 논의해야 하고 시간을 달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찬 회동에서) 원칙이면서도 평소의 생각을 얘기했다. 국민 앞에 자랑스러운 경선이 되도록 하자는 얘기를 나눴다"고 밝혔다.

황 대표가 이날 밝힌 대선후보들 간 모임에 대해 김영우 대변인은 "후보 모임에 박근혜 전 대표뿐 아니라 정몽준'이재오'김문수 비박 3인방과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 안상수 전 인천시장도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당 지도부는 조만간 대선후보들 간 모임 일정을 잡을 예정이다.

이처럼 당 지도부와 비박 대선주자들의 첫 만남은 의견 차이만 재확인했을 뿐 '룰의 전쟁' 핵심인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여부에 대한 근본적인 찬반 대립으로 견해 차이를 전혀 좁히지 못했다는 평가다. 비박 주자 측 대리인들은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위한 '별도기구' 설치를 요구했고, 지도부는 최고위 산하 경선기획단 설치 등 '최고위 논의'를 고수하는 등 접점을 찾지 못했다는 것이다.

현실적으로 어느 한쪽의 '결단'이 없으면 접점 마련이 불가능한 상황이라는 게 당 안팎의 해석이다. 당내에선 경선 무산 가능성에 대한 우려마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한 당직자는 "친박 성향의 당 지도부가 비박 측과 대화에 나선 것은 긍정적이라는 평가이지만 파국을 막으려면 어떻게든 합의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