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 때 되면
하늘을 자꾸 올려다보니께
하늘 좀 그만 쳐다보라고 허리가 꼬부라지는 거여.
하느님도 주름살 보기가 민망할 거 아니냐?
요즘엔 양말이 핑핑 돌아가야.
고무줄 팽팽한 놈으로 몇 족 사와야겄다.
양말 바닥이 발등에 올라타서는
반들반들 하늘을 우러른다는 건,
세상길 그만 하직하고 하늘길 걸으란 뜻 아니겄냐?
갈 때 되면, 입 꼬리에도 발바닥에도
저승길인 양 갈대꽃이 허옇게 피야.
따뜻한 시선으로 삶을 바라보는 이정록 시인의 작품입니다. 근래에는 그 자체가 학교일 수밖에 없는 어머니로부터 배우는 삶의 지혜를 시로 풀어내고 있지요. 스쳐 지나듯이 던지는 어머니의 말 한마디가 명강의입니다.
어머니는 허리가 꼬부라지거나 양말이 자꾸 돌아가는 일상적 경험에서 어떤 의미를 읽어내고 있습니다. 아무렇지도 않게 툭 던지는 어머니의 말은 큰 스님의 법어처럼 늘 고개를 끄덕이게 하지요.
이것은 기본적으로 시인의 일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세상의 모든 어머니는 기본적으로 시인이라 할 수 있지요. 연륜을 쌓는다는 것은 어쩌면 사소한 것으로부터 소중한 의미를 읽어내는 시 쓰기일지도 모릅니다.
시인'경북대교수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