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황우여 "신공항 공감"…공약화는 대선주자들 몫

[한국지방신문협회 공동기획] 새누리 황우여 대표 인터뷰

새누리당 황우여(사진) 대표는 19일 남부권 신공항 건설의 대선 공약화와 새누리당 대선 후보 경선 룰 문제 등 정국현안에 대한 솔직한 입장을 밝혔다.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매일신문을 포함한 한국지방신문협회와의 공동인터뷰에서 황 대표는 "인천공항과 김해공항, 제주도(공항)가 모두 포화상태"라고 전제하고 "늘어나는 화물과 여객을 수용할 수 있는 대책에 대해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며 남부권 신공항 건설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신공항 건설을 대선 공약으로 제시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조심스러운 부분이라 나로서는 말하기 어렵다"면서도 "타개책이 나와야 한다는 점에서 접근하겠다. (당대표인 내가 아니라) 대선 주자들이 공약으로 내세울 부분"이라고 밝혔다.

황 대표는 또한 초미의 현안인 비박(非朴) 주자들과의 경선 룰 개정 논란에 대해서는 "당헌당규가 고쳐지지 않는다면 현재대로 따를 수밖에 없다"며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로의 변경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분명히 했다.

-경선 룰 문제는 어떻게 돼가나.

"경선룰은 당헌에 있다. 2005년부터 2년 가까이 논의해서 당의 의사 절반, 국민의사 절반으로 하는 '세미오픈프라이머리' 방식으로 정해져서 2 3 3 2(전당대회 대의원 20%'일반당원 30%'국민참여 30%'여론조사 20% 반영)라는 원칙을 확정, 당헌으로 만들었다. 당으로서는 당헌당규가 고쳐지기 전까지는 당헌당규에 따를 수밖에 없다. 당헌에 따라 8월 21일까지 대선 후보를 내는 것도 늦은 감이 있다. 5월부터 해야 하는데 6월이 지나가고 있는 상황이다. 오픈프라이머리를 하면 200억원에서 300억원이 든다. 당이 부담할 수 없다. 여야 공히 국민 허락 하에 입법으로 국민세금으로밖에 할 수 없다. 역선택의 위험도 있다. 정당정치의 문제 등 난제들이 많다. (오픈프라이머리 도입하려면) 원내대표 간 합의가 있어야 한다. 당대당의 정치적 타결이 이루어져야 한다."

-민주당이 찬성하면 하겠다는 것인가. 마지노선은?

"당 대표 의견보다는 그런 제안이 오면 의총을 거치고, 후보들 간에 합의가 되고, 당헌 개정에 대한 컨센서스 를 형성해서 양당 간의 협의가 이루어지면 그에 따라서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당내 합의가 안 되면 현행대로 간다. 너무 복잡하고 어렵게 하면 현형대로 가는 수밖에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대선후보원탁회의는 어떻게.

"우선 후보가 확정돼야 한다. 후보 간 원탁회의인데 후보등록을 하지 않았다. 출마선언도 다 하지 않았다. 당지도부로서는 어느 후보와 원탁회의를 하느냐는 문제가 있다. 경선관리위가 검토할 것이다. 하지만 (절충점을) 만들어내야 한다. 때가 되면 틀을 잡아야 하는데 지금은 후보마다 얘기가 다 다르다. 그런 의미에서 원탁회의 얘기가 나온 것은 진전이라고 본다. 나한테 재량권을 준 것 아닌가.

-당이 친박 친정체제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몇몇 주자들이 표현을 그렇게 얘기할 뿐, 친정체제라고 볼 수 없다. 박근혜 전 대표를 대선 후보로 생각하기 때문에 박 전 대표와 따로 (의견교환을) 하기가 어렵다."

-남부권 신공항을 대선공약으로 내세울 것인가.

"'신공항'이라기 보다는 김해(공항)는 이미 포화상태다. (남부권 신공항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같이 하고 있다. 그러나 (대선공약화는) 그 부분은 조심스런 부분이라…. 가덕도 문제는 잘 알고 있다. 타개책이 나와야 한다. 대선주자들이 공약으로 내세울 부분이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