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란 7주갑(420년)을 맞아 맞아 한국국학진흥원(원장 김병일) 유교문화박물관은 (사)임진란정신문화선양회 및 서울 전쟁기념관과 공동으로 선현들의 국난극복 과정을 재조명하는 동시에 임진전쟁(임진왜란)의 의미를 되새기는 특별전을 열고 있다. 임진란 7주갑기념 문화'학술대제전의 한 행사로 '임진전쟁, 그리고 420년의 기억'이라는 주제로 개최되는 이 특별전은 8월 19일까지 62일간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열린다. 11월에는 장소를 서울 전쟁기념관으로 옮겨 진행된다.
◆임진전쟁, 그리고 420년의 기억
임진란이 끝난 뒤 조선에서는 전쟁의 과정과 비참함을 기억하기 위한 각종 사업들을 전개했다. 특히 전쟁과정에서 전몰한 영령들이나 전쟁 극복에 공을 세운 인물들을 추모하는 사업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임진란 이후 1주갑 즉 60년마다 전쟁의 참혹함을 기억하고 나라를 위해 몸바쳐 활동한 공신들을 추모하는 행사가 개최된 것이 대표적이다.
임진란에 대한 최초의 국가적 기억은 3주갑 때인 1772년(영조 48)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영조는 문렬공 조헌과 충무공 이순신, 충렬공 송상현, 충렬공 고경명에게 치제(致祭'임금이 죽은 공신의 가문에 제물과 제문을 보내 제사를 지내게 하는 것)하고 그 후손을 등용하도록 조치했다. 5주갑인 1952년에는 한국전쟁에도 불구하고 이승만 대통령이 경북지사 신현돈을 안동 하회마을에 제관으로 보내 류성룡 선생의 가묘에 치제하게 했다.
◆징비록 등 70여 점 특별 전시
특별전에는 선현들의 국난 극복 과정을 보여주는 유물 및 각종 기록들을 중심으로 국보132호인 '징비록'을 비롯해 70여 점이 전시되고 있다.
대부분의 자료는 일반인에게 공개되지 않은 자료들이다. 이 가운데 이순신이 바다를 건너오는 가토 기요마사를 공격하라는 명령을 어겼다는 이유로 삭탈관직을 당하고 사형에 처해질 위기에 있을 때 이순신의 목숨을 살리기 위해 약포 정탁이 올린 '신구이순신차초'(申救李舜臣箚草)는 이순신의 공적을 나열하면서 장수가 상황을 판단해 병력을 움직이는 것이지 함부로 움직일 수 없음을 극론한 것이다.
또한 전쟁 업무를 총괄했던 류성룡의 갑주(갑옷과 투구)를 비롯해 임진란 당시 3대 대첩의 하나인 진주성싸움의 과정을 기록한 '진주성수성절차'(보물 905호), 전쟁의 경과를 기록한 정탁의 '용만견문록'(보물 594-5), 종군기록인 이탁영의 '정만록'(보물 880호), 정유재란 때 남원에서 전사한 선무 3등공신 정기원의 집에 내려진 정려현판, 진주성에서 전몰한 경상도 초유사 김성일의 패도(佩刀)와 철퇴(鐵槌) 등 중요한 자료들이 함께 전시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