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새누리당은 박근혜만의 당이 아니다

새누리당이 25일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대선 후보를 뽑는 일정을 확정했다. 8월 19일에 경선 투표하고, 20일에 전당대회를 열어 대선 후보를 정하기로 했다. 일정 연기 이야기가 있었으나 박근혜 의원의 평소 의중을 반영, 당초 일정대로 하기로 한 듯하다. 다만 논란을 빚는 경선 방법 즉 경선 룰은 7월 9일까지 계속 논의키로 해 여지를 남겼다.

현재 박 의원 측과 소위 비박(非朴)의 예비 주자들 간 대립은 경선 방법 때문이다. 박 의원 측은 대의원 20%, 당원 30%, 일반국민 30%, 여론조사 20%의 현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지난 2007년 경선 때 적용했던 방식이다. 그러나 비박 세 주자인 김문수 경기도지사와 이재오'정몽준 의원은 완전한 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주장하며 경선 불참도 불사할 태세다.

박 의원은 "선수가 룰에 맞춰야지 선수에게 룰을 맞추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며 원칙론을 내세우고 있다. 또 완전국민경선제가 초래할 부작용도 거론하고 있다. 자칫 돈이 뿌려지고 사람 동원 혹은 상대 정당의 전략에 말려 낮은 경쟁력의 후보를 뽑을 '역선택'의 가능성, 크게 늘어날 선거비로 인한 국고 낭비 등이 문제점이다. 근거 있는 주장이다.

경선을 통한 경쟁력 있는 후보 선택은 필수다. 그러나 경선 흥행도 무시할 수 없다. 그래서 보다 많은 국민 참여가 필요하다는 비박 측 주장도 일리가 있다. 흔히 정치를 '생물'에 비유한다. 상황이 바뀌면 변하는 것이 정치란 말이다. 정치는 대화와 타헙의 산물이다. 박 의원이 원칙만 앞세워 상대의 말에 귀를 막는 소통 부재의 모습과 처사는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당 지도부 역시 친박(親朴) 일색이지만 비박의 소리를 무시해선 안 된다. 박 의원만을 위한 당이 아니지 않은가. 박 의원 눈치만 살피는 '개념' 없는 일은 국민에게 할 도리가 아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