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운송거부 차량, 10배 늘어…컨테이너 물동량 '반토막'

화물연대 파업 사흘째, 전국 2800여대 가담 집계

화물연대 파업이 사흘째를 맞이한 가운데 물류 대란 조짐이 보이고 있다. 곳곳에서 물동량이 떨어지고 피해기업이 서서히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25일 낮 12시 기준으로 275대였던 운송거부 차량은 26일 오후 6시 현재 2천848대로 대폭 늘어났다. 이는 부산항과 인천항 등 전국 주요 물류 거점 지역 13곳의 화물차량 약 1만1천90대의 약 26%에 해당한다.

이날 오후 기준으로 전국 주요 물류 거점의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3만4천802TEU로 평시 반출입량(7만2천633TEU)의 48%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부산항의 컨테이너 장치율(야적장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비율)이 85%를 넘어서면 물류 사정이 심각해진다"며 "조기에 파업을 해결하지 않으면 물류 대란이 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대구경북지역 업체들도 파업 이틀째인 26일 원자재 및 중간재 수송의 어려움을 겪었다. 영남권 물류거점인 부산항과 포항 영일만항의 반출입 물량이 줄어들면서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25일 화물연대 조합원들의 압박으로 오후 3시부터 6시까지 차량운행이 중단됐던 현대제철은 26일 오전에도 같은 상황이 벌어졌다. 이날 회사측은 10m 거리에 있는 스크랩 야적장에서 원료를 옮기지 못해 오전 내내 생산차질이 빚어졌다. 동국제강 포항제강소와 세아제강 포항공장 역시 오전 한때 입'출하가 중단됐다.

생산차질을 우려한 철강업체들은 곧바로 포항지부와 교섭에 나서 오후부터 운송을 정상화시켰다. 오전 시간 내내 생산차질을 빚은 철강업체들은 야간시간까지 운송작업에 돌입하며 파업에 따른 피해 최소화에 주력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 역시 이틀째 파업이 이어지면서 물류 수송 대책 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일부 업체들은 경찰의 도움 아래 야간 및 새벽에도 물류 수송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일부 중소기업체들은 화물연대 소속 조합원들이 운송거부를 하고 연락마저 되지 않아 화물차량을 확보하지 못해 물류 수송에 차질을 빚고 있다.

구미경찰서는 3개 중대를 비상근무조로 편성해 남구미 IC와 구미 IC 등지에 배치해 화물연대 조합원들의 불법행위에 대해 강력하게 단속하고 있다.

지역 섬유업계는 파업 장기화가 수출 이미지에도 타격을 줄까 걱정하고 있다. 중국산에 비해 우수한 품질과 함께 납기일을 지키는 '신뢰'를 강점으로 지금껏 수출 실적을 키워왔던 섬유가 당장 수출 기일을 못맞출 경우 바이어로부터 '신뢰'를 잃을 수 있기 때문. 한 업체 대표는 "최근 주문이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바뀌면서 납기기간이 짧아지고 있기 때문에 4, 5일만 파업이 이어져도 연쇄적인 피해를 입을 수 있다"며 "바이어에게 전화를 걸어 국내 사정을 설명하고 납기일을 연기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고육지책일 뿐이다"고 말했다.

한편 국토부는 27일 오후 화물연대측과 대화를 시작할 계획이다. 대화 결과에 따라 파업이 조기에 해결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쟁점인 운송료 인상을 두고 운송업체는 4, 5% 인상을 제시하고 있는 반면 화물연대측은 30% 인상을 요구하고 있어 괴리가 크다"며 "운송료 부분에서 타협점만 찾으면 파업 중단의 실마리가 풀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구미'전병용기자 yong126@msnet.co.kr

포항'박승혁기자 psh@msnet.co.kr

노경석기자 nks@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