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5년 암흑기 덕 '서글픈 전화위복'

수도권 아파트 집단대출 분쟁 쏟아지지만 대구는 잠잠…

아파트 집단대출이 가계부채 부실로 이어지고 있지만 대구경북은 집단대출이 적고 연체율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4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가계 집단대출 잔액은 102조4천억원. 연체율은 1.56%에 이르고 있다.

집단대출은 아파트 분양'입주 과정에서 이뤄지는 대출. 집단대출 잔액은 2010년 12월 이후 완만한 증가세를 보이다 부동산 경기 부진으로 올해부터는 정체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연체율은 상승 중이다. 집단대출 연체율은 올 들어 1월 1.31%, 2월 1.44%, 3월 1.48%로 매월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지역별 가계 집단대출 잔액규모는 경기도가 37조8천억원, 서울이 22조7천억원, 인천이 12조1천억원, 부산이 5조9천억원 순으로 많았다.

반면 대구는 2조원, 경북은 7천억원에 불과했고 연체율도 낮았다.

대구은행에 따르면 올 5월 말 기준 대구은행이 대출한 집단대출 잔액은 3천700억원 수준이며 가계대출 건전성의 척도가 되는 연체율은 0.39% 수준에 머무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파트 분양 물량이 많았던 2006년 전후 매달 1조원 안팎의 집단대출 잔액이 있었던 것과는 격세지감이다.

대구은행 개인여신부 관계자는 "2010년을 전후로 아파트 분양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집단대출 잔액 역시 적을 수밖에 없다"며 "2010년부터 몇몇 단지에서 분양이 이뤄지면서 최근 들어 집단대출 잔액이 늘었을 뿐"이라고 말했다.

실제 대구의 경우 2006년을 정점으로, 경북은 2007년을 정점으로 아파트 분양이 거의 없어 현재 집단대출 관련 문제가 터진 곳이 단 한 곳도 없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집단대출에 따른 분쟁사업장은 94곳(중도금, 이주금 등 중복 분쟁 포함)에 이른다. 최근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면서 시세가 분양가 이하로 떨어진 아파트를 중심으로 계약자와 시행사 간 분양가 인하 분쟁이 터지면서 이자 납입 거부 사례가 늘었기 때문이다. 문제 사업장의 대부분은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금융감독원은 "집단대출은 입주가 완료된 잔금대출(66.4%) 위주여서 리스크가 낮다"며 "은행 부실화로 전이될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소비자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감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태진기자 jiny@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