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개원한 19대 국회, 성숙하게 변모해야

19대 국회가 2일 개원, 첫 임시국회를 열게 됐지만, 쟁점을 둘러싼 갈등이 예고되고 있다. 민간인 불법 사찰 국정조사 범위와 관련, 현 정부로 국한해야 한다는 야당과 이전 정부까지 포함해야 한다는 여당의 입장이 부딪치고 있다. 대법관 인사 청문회와 언론사 파업 청문회에 대한 시각차도 확연하다. 또 최근 불거진 일본과의 군사정보협정 체결 책임 문제와 관련, 여야가 총리 해임을 놓고 충돌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으로 말미암아 국회가 다시 파행을 겪을 것으로 우려되지만, 여야는 이제 낭비할 시간이 없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국회는 이미 한 달가량 늦게 개원해 쟁점뿐 아니라 민생 현안을 처리하고 대선 일정을 소화하는 데 시간이 빠듯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여야는 국회가 제 기능을 다하도록 운영의 묘를 살릴 수 있는 지혜를 모아야 한다.

이를 위해 이한구 새누리당 원내대표와 박지원 민주통합당 원내대표의 역할이 중요하며 양 대표는 최소한 국회가 파행되지 않도록 책임을 다해야 한다. 대결적 구도에 휩싸여 상대 탓만 할 것이 아니라 조정하고 타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더 일찍 열릴 수 있었던 국회가 구태적 싸움으로 한 달이나 늦어진 점은 반성해야 하며 더는 되풀이되지 말아야 한다.

민간인 불법 사찰 국정조사 범위나 대법관 인사 청문회와 대법원 구성 등 쟁점에 대해서도 서로 일방적인 주장만 할 것이 아니라 상대의 주장을 일정 부분 받아들여 타협해야 한다. 100%를 얻기보다 50~70%를 이끌어내는 자세가 생산적이며 새로운 국회상을 제시할 수 있다. 19대 국회는 구태에서 벗어나 싸우면서도 토론하고 합의할 수 있는 성숙한 태도를 보여야 한다. 그것만이 정치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길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