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2월 정권 탈환을 준비하고 있는 민주통합당 내부에서 '영남후보론'에 대한 공방이 뜨겁다. 요지는 당의 취약지역인 영남 출신의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을 후보로 내세워 정권 재창출에 성공했던 지난 2002년 대선 당시의 득표 전략이 지금도 유효하냐는 것이다.
민주당 내 영남후보론 주창자들은 '집토끼'인 호남지역을 기반으로 하되 대선 승리를 위해서는 호남지역보다 유권자 수가 2.5배나 많은 영남지역 공략 방안을 반드시 갖고 있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지난 4'11 총선 유권자 현황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영남지역 유권자는 1천52만2천881명(대구 1,979,646명, 경북 2,174,778명, 부산 2,905,969명, 울산 874,320명, 경남 2,588,168명)으로 호남지역의 411만1천430명(광주 1,109,014명, 전남 1,525,807명, 전북 1,476,609명)보다 월등히 많다. 영남후보론자들은 아울러 가장 많은 유권자들이 모여 있는 수도권에서도 투표에 적극 참여하는 세대는 대부분 수도권 태생이 아니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10년이 지난 현재 민주당 내 '영남후보론' 공방은 수세에 몰린 비(非) 영남 출신 후보들이 견제 차원에서 먼저 꺼냈다. 당내 경선 과정에서 선두다툼을 벌일 것으로 예상되는 문재인 상임고문과 김두관 경남도지사는 물론 향후 야권 후보단일화 과정에서 만날 것이 유력시 되는 안철수 서울대 교수 역시 영남 출신이기 때문이다.
손학규 상임고문은 3일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경기도 분당은 지역적으로는 영남, 계층적으로는 중산층이 많아 한나라당이 압도적인 지역이었지만 지난해 4'27 보궐선거에선 한나라당 후보가 아닌 민주당 손학규 후보를 선택했다"며 "이번 대선 구도는 4'27 분당을 선거 구도와 같아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앞서 지난달 말에도 "지역구도로 똑같이 생각하는 선거는 벌써 10년 전 얘기"라며 영남후보론에 공세를 가한 바 있다.
정세균 상임고문 역시 3일 광주를 방문한 자리에서 "20년 전부터 호남 후보 필패론을 제기한 사람들은 시대변화를 모르는 것"이라며 "호남필패론에 정면 대응해 물리치겠다"고 영남후보론에 일격을 가했다.
영남권 주자들은 이 같은 공세에 대해 일절 대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민주당 내 영남후보론은 경선 과정 내내 논란거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유광준기자 jun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