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94년 7월 2일 미국 콜로라도에서 산불이 발생했다. 36시간도 되지 않아 대원 중 14명이 사망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사전 정보 없이 진압작전을 펼쳤고 명확한 책임자가 없었다. 우선 초기 진압 시기를 놓쳤다. 더욱이 방화선 구축에도 실패했다. 그리고 대원들 중에 유능한 소방관 3명이 있었으나 스스로를 의사결정권자라고 생각하지 못했다. 진화작업을 서로 따로 해 산불이 폭발점에 이른 것을 몰랐다. 정확한 상황판단에 따라 행동하지 못한 결과로 소방관들이 생명을 잃게 된 것이다.
소방관 생활 36년째이다. 그동안 결단을 내려야 하는 '고 포인트'(Go Point) 시간들이 참 많았다. 예스(Yes), 노(No)를 말해야 하는 순간들 말이다. 나의 결정에 따라 다른 사람의 운명이 좌우되기 때문에 신중에 신중을 기해왔다. 그리고 늘 고 포인트의 실패사례인 미 콜로라도의 스톰킹 화재를 되새기고 있다.
최근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재난의 발생 빈도가 급증하고 규모가 대형화되고 다양화돼 인명 및 재난 피해가 날로 크게 늘고 있다. 도시화 및 인구 과밀화에 따른 초고층화와 지중화율이 늘어나고 있다. 또 도시개발 및 생활공간 확산과 밀집화로 재해 위험공간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노인들은 재난 상황 시 신속한 대피가 곤란하고 재난 정보를 인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 건축물 노후화로 인한 재난 취약시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친서민'재난현장 중심'의 소방방재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또 재난 위험요소를 찾아내어 개선하고 보다 안전하게 생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방침이다.
2022년까지 10~70세 국민 50% 이상에게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아울러 재난안전 체험교육을 더욱 확대할 예정이다.
국민들도 생활방재 의식을 실천하고 국가 소방방재 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성원을 보내 주길 바란다.
이기환/소방방재청장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