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빚더미 36개 대기업 구조조정 대상

대출규모 500억 이상…건설업종이 절반 차지

금융권에서 빌린 돈이 500억원을 넘는 대기업 36개사가 구조조정 대상에 올랐다. 건설업종이 절반 가까이 차지해 부동산 경기 침체의 현실을 보여줬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금융권에서 500억원 이상 빌린 대기업들의 신용위험을 평가한 결과 36곳을 C등급과 D등급으로 분류했다. C등급은 15곳, D등급은 21곳이었다.

건설사 5곳, 조선사 1곳, 반도체 2곳, 디스플레이 2곳 등 15곳의 C등급 회사들은 채권단과 워크아웃(기업의 재무구조 개선작업) 약정을 맺고 경영 정상화를 추진한다. 금융감독원은 C등급 회사가 워크아웃을 시작할 때까지 채권단이 채권을 회수하는 등 금융제한 조치를 하지 않도록 지도할 방침이다.

건설사 12곳, 해운사 1곳, 반도체 1곳 등 21곳의 D등급 회사들은 자체 정상화를 추진할 수 있으나 법정관리(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시행사를 포함한 건설업종이 C등급 5곳, D등급 12곳 등 17곳으로 전체의 절반가량이었다.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된 36곳에 대한 신용공여액은 총 4조8천억원으로 채권단별로는 은행이 4조1천억원으로 압도적이었다. 이어 보험 2천700억원, 저축은행 1천300억원, 여신전문금융사 1천600억원 등의 순이었다.

구조조정 추진에 따른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소요액은 1조1천억원 정도로 예상된다. 대손충당금은 채권을 회수하지 못할 경우에 대비해 쌓는 돈이다.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시 채권단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금융감독원은 추가 적립 이후에도 평균 BIS(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비율은 은행권이 약 0.08% 포인트, 저축은행은 0.09% 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김태진기자 jiny@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